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망고, 삼채, 파파야 등 새로운 소득 작물로 주목받고 있는 아열대 작물의 주요 병해를 제시하며 주의를 당부했다. 기후 온난화에 따라 아열대 작물 재배를 고려하는 농업인이 늘고 있지만, 병 관련 정보는 부족한 실정이다. 아열대 작물 재배 전 대표 병해를 알아두면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망고, 잎마름병 위생적으로 관리해야 감염 밀도 줄일 수 있어 망고의 경우 잎 한가운데 또는 가장자리에 작은 반점이 생기다 잎 전체가 마르거나 줄기에 병반(반점)이 생기는 ‘잎마름병’을 주의해야한다. 망고 잎마름병은 초기에는 노란색 원형 반점이었다가 불규칙하게 모양이 변하며, 색은 갈색으로 변한 짙은 자주색을 띄게 된다. 감염된 줄기는 껍질이 회색으로 변하여 감염 지점에 테두리를 한 것과 같은 모습을 보인다. 병원균이 잎에 살아있기 때문에 물로 세척하는 등 위생적으로 관리해야 감염 밀도를 줄일 수 있다. 국내 재배 초기에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햇수가 길어지며 관찰되기 시작했다. 수분·수정에 이용하는 파리(검정뺨금파리) 배설물로 잎이 오염되고, 이를 제때 제거하지 못한 것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과일에서는 침지(물에 적신 것)된 것과 같은 병변이 생겨 썩고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지난 2월 한 달간 전국 농촌진흥기관을 통해 국내 재배 중인 아열대작목 22종(채소 12, 과수 10)의 재배현황을 조사했다. 이번 조사는 아열대작목 연구사업의 효율적 추진과 기초재배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했다. 작목은 오크라, 삼채, 여주, 공심채, 강황, 사탕무, 얌빈, 게욱, 롱빈, 아티초크, 인디언시금치, 차요테 등 채소 12종과 망고, 백향과, 용과, 올리브, 파파야, 아떼모아, 구아바, 훼이조아, 바나나, 커피 등 과수 10종이다. 지난 2월 기준 국내 전체 아열대작목 재배농가는 1,376호이며 재배면적은 311.4헥타르(ha), 생산량은 5,697.3톤이다. 이 중 아열대 채소 재배농가는 848호, 재배면적은 147.4ha, 생산량은 2,819.5톤이며, 아열대 과수 재배농가는 528호, 재배면적은 164ha, 생산량은 2,877.8톤이다. 아열대 채소 가운데 재배면적이 넓은 작목은 ▲여주(59.9ha, 232농가) ▲강황(46.6ha, 367농가) ▲삼채(15.9ha, 71농가) 순이며, 아열대 과수는 ▲망고(62.0ha, 159농가) ▲백향과(36.5ha, 156농가) ▲바나나(29.3ha, 61농가) 순이다.
차요테의 식물체와 과실에 피해를 주는 병해충 중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는 직접적으로 잎의 황화와 과실에 경화를 일으키며 간접적으로는 과실 천공과 관련된 식물병을 매개한다. 포충나방과에 속하는 Diaphania hyalinata와 D. nitidalis는 어린 과실의 표면에 상처를 입히는데 이곳을 통해 식물병원균이 들어가게 된다. 진딧물류와 담배가루이는 잎, 꽃자루, 과실을 흡즙하여 직접적인 피해를 줄 뿐만 아니라 이들 해충의 배설물과 감로에 의해 피해를 받은 과실들은 상품성이 떨어지게 된다. 땅강아지류는 뿌리 담배거세미나방, 잎벌레류는 잎과 줄기 가해 검정풍뎅이과와 Diabrotica속에 속하는 해충들은 과실과 묘목을 가해하여 경제적인 피해를 준다. 선충류(Meloidogyne incognita, Heterodera radicicola, Helicotylenchus spp.)는 뿌리썩음병과 관련되어 있다. 땅강아지류(Gryllotalpa fussor, Brachytrypes portentosus)는 뿌리를 가해한다. 담배거세미나방, 잎벌레류는 잎과 줄기를 가해한다. 식물체의 잎, 줄기, 과실에 문제를 일으키는 식물병은 곰팡이균들과
차요테(Sechium edule L.)는 영어 명칭으로 Chayote 또는 Chayote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채소 배(vegetable pear)라고도 불리고, 열매 모양이 특이하여 “악어배”(Alligator pear), 그리고 중국에서는 부처님 손처럼 생겼다고 하여 “佛手瓜”(Buddha hand melon)라고 한다. 차요테는 채소용으로서뿐 아니라 관상용으로도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원산지는 멕시코, 중앙아메리카의 열대아메리카 지역으로 고온성 작물이다. 유럽에는 18세기말에 도입되었고, 19세기에 들어와 각지에 전파되었으며 중국남부, 동남아시아, 인도네시아 등에서는 중요한 채소의 하나이다. 종자는 휴면이 없고 따뜻하면 발아하므로 서늘한 곳에 보관 열대·아열대 지방에서는 다년생이나 우리나라와 같은 온대지방에서는 숙근성 또는 일년생의 넝쿨성 초본이다. 줄기와 잎이 잘 자라며 분지성이 강하고 넝쿨은 10m 이상 자란다. 온대에서는 겨울철에 지상부가 고사되나 보온을 할 경우 뿌리는 숙근성이 되어 이듬해 봄에 다시 싹이 튼다. 암수한그루 식물로 과실은 서양배 모양이며 길이 8∼20cm, 두께 7∼12cm정도로 모양은 변이가 심하다. 종자는 과일 한 개에
저온에 아주약해 온도 관리에 각별히 주의해야 리치는 저온에는 아주 약하고 0℃ 이하에서 6시간, -4℃ 이하에서는 단시간에도 약한 가지와 성숙된 잎이 말라죽는다. -6℃ 이하가 되면 지상부는 완전히 고사한다. 따라서 안정적인 생산을 고려하면 -3℃ 이상의 장소를 선택하든지, 시설재배의 경우 -3℃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온도 관리에 주의한다. 꽃눈 분화는 가을에서 겨울 동안 0∼7℃의 저온이 200시간 이상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시기에 리치를 재배하는 비닐하우스가 25℃ 이상 고온이 되면 꽃눈 분화가 잘 안되기 때문에 하우스 온도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리고 개화 기간에 강수량이 많으면 꽃 가루받이(수분)를 방해하여 착과율이 떨어지고, 가을에서 겨울사이의 토양건조는 꽃눈의 분화를 촉진한다. 따라서 개화 시기에는 비가 적게 오는 것이 좋다. 이런 점에서 시설재배는 비를 피한 재배가 가능해 생산 안정을 위한 방법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수정 후부터 과실의 성숙기에는 충분한 토양수분을 필요로 하므로 이 시기의 토양건조는 열매 떨어짐과 열매터짐, 열매가 커지는 것을 억제하고 품질의 저하 등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므로 시설재배 시에는 충분한 물대기를
아카시아진딧물, 식물체 모든 부분 흡즙 피해 50개 이상의 식물병 바이러스 옮기는 매개충 아카시아진딧물(Aphis craccivora)은 콩의 유묘기부터 꼬투리가 생성되는 시기까지 콩의 생장에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직접적으로 식물체 모든 부분의 흡즙을 통해 피해를 줄 뿐 아니라 50개 이상의 식물병 바이러스를 옮기는 매개충으로 알려져 있다.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는 열대와 아열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해충으로 롱빈외에 많은 식물을 먹이로 하고 있다. 고온 건조한 조건을 선호하며 습도가 높은 지역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 성충과 유충은 식물체의 수액을 흡즙하여 직접적인 식물생장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주요한 식물병바이러스(Cowpea mild mottle virus, CPMMV)를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담배거세미나방, 주로 야행성으로 야간에 피해 커 매미충과에 속하는 Empoasca kerri Puthi, E. facialis Jacobi, E. fabae Harri 중 E. kerri는 아시아에서, E. fabae는 아메리카지역에서 주로 발견되며 덥고 건조한 지역을 선호한다. 성충과 약충은 직접적으로 식물잎의 수액을 흡즙하며 심한 경
롱빈(Long bean)은 Yard Long Bean, Asparagus Bean, Snake Bean, ChineseBean 등으로 불리며 학명은 Vina unguiculata subsp에 속하는 콩과작물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별도로 이름이 없을 정도로 알려지지 않았었지만 현재는 갓끈동부콩으로 판매되고 있다. 중국에서는 ‘장두’라고 불리운다. 콩의 한 종류인 롱빈은 열대·아열대성 작물로 태국, 중국남부 등 동남아시아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고있다. 꼬투리 길이가 최고 90cm이상 까지 자라며 미성숙한 꼬투리(40~50cm)를 수확해서 요리에 이용한다. 고온 건조한 조건에서 잘 자라며 저온에 민감하고 다습한 토양에서는 자라기가 어렵다. 파종 후 60일부터 수확가능 지방과 콜레스테롤 없는 건강식품 우리나라 기후에서는 노지 또는 무가온하우스에서 잘 자란다. 보통은 파종 후 60일부터 수확이 가능하며 수확이 늦어지면 열매가 단단해 지고 꼬투리에 섬유질이 많아져 식용이 불가능 해진다. 7~8월에는 생육속도가 빨라 하루에 3~4cm 정도 자라기 때문에 꼬투리 식용을 위해서는 개화 후 10일 전후로 수확해야 한다. 영양소가 풍부하여 비타민 A와 C, 티아민, 리보플라빈과 단
영하 4℃ 이하 되면 균열 발생해 고사 염분 많은 토양 피하는 것이 좋아 패션프루트는 서리에 약하여, 특히 이듬해에 결과모지가 되는 가을가지가 서리피해를 받기 쉽다. 자색종인 경우 목질화한 줄기와 주 가지는 상당한 내한성이 있지만, -4℃ 이하가 되면 균열이 발생해 고사한다. 따라서 생산성을 고려하면 -2℃ 이하로 떨어지지 않고 서리가 적고 겨울철 한풍이나 태풍 등의 강풍에 노출되지 않는 장소가 바람직하다. 또, 황색계는 일반 자색계보다 내한성이 약하므로 온도가 더 높은 지대가 좋다. 재배토양이 과습하고 배수가 나쁘면 시드름병이 오기 쉬우므로 배수가 좋은 사양토가 적합하고, 염분이 많은 토양은 피하는 것이 좋다. 토양 pH는 5.8~6.4정도가 적합하고 알카리성 토양에서는 여름철에 잎이 황화되고, 동이나 아연 등의 미량요소 결핍이 걸리기 쉽다. 패션프루트는 선충에 매우 약하므로 개원할 때는 선충밀도를 조사해 필요에 따라 방제한다. 또 퇴비와 토양개량자재를 투입해서 뿌리내림을 좋게 하고 수세를 강하게 하는 대책을 마련한다. 심는 시기로는 4~8월이 적기로, 실생묘나 삽목묘 모두 2년째에는 결실하므로 봄에 심는 것이 좋다. 이식할 때에는 직경 80cm, 깊이 4
사과하면 떠오르는 지역이 대구경북 지방이었다. 감귤하면 제주도가 곧바로 연상될 정도로 지역별 주산지가 있었다. 하지만 기후변화가 일상화되면서 강원도에서 사과가 재배되고 남해안 일대에서 아열대 작물이 재배되는 등 전통적 개념의 재배지가 변화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아열대작물의 재배면적은 2015년 362ha에서 2017년 428.6ha(채소 326.2, 과수 102.4)로 급격히 늘어났다. 이러한 추세대로 진행되면 아열대 기후지역은 2020년경 남한 경지 면적의 10.1%, 2060년에는 26.6%를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농기자재신문은 기구온난화 등 기후변화에 따라 새로운 소득 작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아열대 작물의 특성과 병해충 종류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농가 소득 제고에 도움이 되기 위해 기획시리즈로 연재한다. <편집자 주> 패션프루트(학명:Passiflora edulis Sims. 영명:Passion fruit, Purple granadilla)는 시계꽃과 시계꽃속에 속하는 강한 다년생 상록 덩굴식물이다. 시계꽃속 식물은 12속 550여종에 이르지만 식용으로 쓰이는 것은 약 10여종 정도이고 대부분은 관상용으로 쓰이고
아티초크의 경우 토질은 그다지 가리지 않는 편이나 뿌리가 깊게 뻗게 되므로 경토가 깊고 물빠짐이 좋은 곳을 선정한다. 정식포장은 10a 당 3,000kg 이상 퇴비를 시용하고, 밑거름은 성분량으로 질소, 인산, 칼리를 각각 10∼20kg정도 시용한다. 수확은 5월 경 꽃봉오리가 발생되므로 꽃봉오리가 피기 전 어릴 때 줄기를 2cm 정도 붙여 자른다. 수확을 하지 않고 그냥 두면 꽃을 감상할 수가 있다. 수확이 끝나면 줄기와 잎이 마르고 여름철에 휴면기에 들어가므로, 줄기를 땅위 10cm 부분 정도에서 잘라준다. 현재 국내 호텔에서 이용되는 아티초크는 대부분 수입이 된 캔 제품을 이용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도 아티초크 재배가 가능해짐에 따라 금후 신선한 아티초크 요리를 맛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티초크는 건강채소로 뿐 아니라 식물체가 이국적 풍경을 자아내어 정원의 관상용 및 화훼의 절화용 소재로도 개발 가능성이 크다. 국내 재배 시 ‘아티초크’는 수확기가 봄철에 한정 되므로 금후 년 중 안정생산을 위한 재배기술 개발 등이 요구되고 있다. 총채벌레 등 발생 다양 진딧물·나방류 해충 방제 필요 아티초크 재배 시 다양한 해충 종류가 발생한다. 제주도에서 아티초
최근 기후 온난화와 관련 다양한 채소 작물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아티초크는 브로콜리처럼 꽃봉오리를 먹는 채소이다. 꽃봉우리가 매우 커서 식용부위가 많다. 꽃봉오리 전체를 이용하기도 하고 일부 품종은 꽃받기라는 꽃의 맨 아래부부만 이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채소의 여왕이라는 별명이 붙었듯이 요리법이 다양하고 우리나라에서는 귀한 채소로 고급호텔의 요리에 등장한다. 아티초크는 남부 유럽의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이다. 15세기 중엽에 이탈리아에서 처음 재배되었고 그 후 16세기에 프랑스와 독일에 전파되어 재배되었다. 현재 주산지는 이탈리아, 프랑스 남부, 미국 캘리포니아주 등 이다. 동양에서는 서양인들에 의해 1900년 초부터 중국에서 재배되었다. 국내에는 2000년대 초반부터 제주에서 시험재배가 이루어졌다. 아티초크는 저온에서 잘 자라며 9℃ 이하에서 화아분화되어 꽃봉우리가 발생한다. 보통 5월 하순부터 6월 하순까지는 채소용으로 수확이 가능하고 이 후 부터는 개화가 시작되어 식용부위가 거칠어져 화훼용(절화용)으로 이용된다. 꽃대는 1.5m 까지 자라며 정아우세가 강하여 정단부 꽃봉우리가 가장 빨리, 크게 자란다. 정단부 꽃봉오리가 어느 정도 자라면 측아가 발생하
사과하면 떠오르는 지역이 대구경북 지방이었다. 감귤하면 제주도가 곧바로 연상될 정도로 지역별 주산지가 있었다. 하지만 기후변화가 일상화되면서 강원도에서 사과가 재배되고 남해안 일대에서 아열대 작물이 재배되는 등 전통적 개념의 재배지가 변화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아열대작물의 재배면적은 2015년 362ha에서 2017년 428.6ha(채소 326.2, 과수 102.4)로 급격히 늘어났다. 이러한 추세대로 진행되면 아열대 기후지역은 2020년경 남한 경지 면적의 10.1%, 2060년에는 26.6%를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농기자재신문은 기구온난화 등 기후변화에 따라 새로운 소득 작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아열대 작물의 특성과 병해충 종류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농가 소득 제고에 도움이 되기 위해 기획시리즈로 연재한다. <편집자 주> ◇ 올리브의 특성과 역사 올리브(학명: Olea europea L.)는 그리스 신화에서부터 등장하는 인간이 재배한 열매 중 가장 오래된 열대라고 할 수 있다. 지중해 지역에서는 신이 내린 최고의 선물이라고 불리고 있다. 올리브는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이며 흑자색의 완숙한 열매를 수확하여 올리브
2025년 을사년(乙巳年) 새해가 밝았습니다. 희망찬 새해를 맞아 소망하시는 모든 일을 이루시고 건강과 행복이 가득한 한 해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지난 한 해 녹록지 않은 상황 속에서도 든든하게 우리 농업과 농촌 현장을 지켜 주신 농업인, 그리고 농촌진흥공직자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025년에는 환경 대변화, 기술 대변혁의 시대에 우리 앞에 놓인 도전을 극복하고, 미래 세대에 희망을 주는 농업·농촌으로 성장하기 위한 변화와 혁신의 성과를 만들어 가겠습니다. 전국의 농업인 여러분, 그리고 국민 여러분! 지난해 말 농촌진흥청은 그간의 핵심사업을 재정비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 창출을 위해 첨단기술 융합과 민·관 협력을 기반으로 하는「농업연구개발 혁신방안」을 수립하였습니다. 올해 농촌진흥청은 혁신방안의 핵심내용인‘정책지원·현안해결 10대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주요 현안문제의 조속한 해결과 농업의 신성장 동력 창출을 위해 다음의 다섯 가지 사항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자 합니다. 첫째, 혁신기술로 핵심 농업정책 추진을 뒷받침하겠습니다. 생명정보 데이터를 활용해 육종 목표에 맞는 유전자원을 신속하게 발굴하는‘디지털육종’기술 혁신에 박차를 가하겠습니다
2025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올해는 을사년(乙巳年), 푸른 뱀의 해입니다. 겨울잠에서 깨어나 허물을 벗고 새롭게 탄생하는 뱀과 같이, 농업·농촌이 당면한 어려움을 이겨내고 새롭게 성장하는 도약의 해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지난해 기록적인 폭염·폭우 등 기상 이변과 병충해, 원자재 가격 상승과 고금리로 인한 경영여건 악화 등 수많은 어려움 속에서도, 꿋꿋하게 국민들의 먹거리를 지켜주고 계신 농업인들께 깊은 존경과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최근 우리를 둘러싼 여건은 그 어느때보다 엄중한 상황이지만, 그동안 우리는 농업·농촌에 어떤 어려움이 닥쳐도 서로에게 힘과 위로가 되어주며 슬기롭게 위기를 극복해 왔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를 비롯한 관련 기관 모두는 그 어느 때보다 비상한 각오로 맡은 바 소임을 다하겠습니다. 우리는 변혁의 한 가운데에 서 있습니다. 그동안 농업·농촌은 시장 개방, 코로나 등 많은 파고를 넘어오며 성장해 왔습니다. 이제는 구조적 한계와 위기를 극복하고 역동과 혁신이라는 씨앗을 심기 위해 관행과 고정관념을 넘어서야 합니다. 정부는 농업인들의 성장과 발전, 국민들의 더 나은 삶을 최우선으로 두고 헌신과 책임을 다하겠습니다. 정부는 올해 민생 안정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