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영농철을 맞아 농기계 안전사고와 고장을 예방하기 위해 농기계 사전점검과 정비를 당부했다. 우선 농기계에 쌓인 먼지와 흙을 털어내고 녹이 슨 부분은 기름칠을 해 준다. 윤활유는 정기점검 목록에 따라 필요한 곳에 주입하며, 각 부위의 볼트, 너트가 풀린 곳이 없는지 확인한다. 브레이크, 클러치 페달은 부품 간 움직임이 정해진 범위가 되도록 조정하고, 좌우가 같은지도 확인한다. 또한 주차브레이크 작동상태도 함께 점검한다. 배터리는 윗면의 점검창에서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단자가 부식됐거나 흰색 가루가 묻어 있으면 깨끗하게 청소한 후 그리스를 바른다. 엔진 및 미션 오일의 양과 상태를 점검한다. 오일 게이지를 확인해 부족하면 보충하고, 오일 색이 검거나 점도가 낮으면 교환한다. 냉각수는 새는 곳은 없는지, 양은 적당한지 확인해 부족하면 보충하고 변색 정도가 심하거나 부유물이 많을 때에는 교환한다. 에어클리너는 건식일 경우 필터의 오염 상태를 봐서 청소하거나 교환하고, 습식은 경유나 석유를 이용해 닦는다. 각종 전기배선과 접속부, 전구, 퓨즈 등은 이상이 있으면 교환하고, 시동을 걸어 정상적으로 작동되면 3∼4분간 난기운전을 한다. 농촌진흥
국내 1위 농기계 업체 대동공업(대표이사 김준식)이 직진자율주행을 비롯한 다양한 전자동 기능을 탑재해 이앙기 조작의 편리함과 이앙(모내기)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해 1인 이앙(모내기) 시대를 열 6조 이앙기 'DRP60(디젤/가솔린)'을 출시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번에 출시된 'DRP60(디젤/가솔린)'은 지난해 국내 농기계 업체 중 최초로 선보인 직진자율주행 기능을 탑재했다. 이앙을 시작할 때 최초 1회 직진 자동 레버를 조작해 간편하게 직진 자동 구간을 등록하면 해당 구간 내에서 이앙기가 자동 직진해 작업자는 별다른 조작 없이 모를 심을 수 있다. 모판 운반자 1인과 이앙기 운전자 1인, 2인 1조로 가능했던 기존 이앙에서 운전자가 최소 운전만 하며 모판을 운반 할 수 있어 1인 이앙 작업이 가능해졌다. 이를 통해 농번기 때 보조 작업자 확보의 어려움을 덜고 인건비 등의 비용을 줄일 있다. 여기에 일반적인 60~90주(모의 개수)의 이앙 작업이 아닌 37주, 43주의 소식 이앙 기능(옵션)까지 채택해 모 공급 비용까지 절감, 농가 소득 극대화를 꾀할 수 있다. 직진자율주행 기능의 활용성과 안정성을 높이고자 관련한 다양한 보조기능도 탑재했다. 직진자율주행
농촌 인구의 지속적 감소와 노령화로 농촌의 노동력 부족은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농업의 기계화는 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할 수 있다. 똑똑한 장비를 고르는 것도 이제 농사를 잘 짓는 방법 중 하나! 농사도 이제 장비발 시대인 것이다. 똑똑한 농기계는 농작업을 쉽게 도와줄 뿐만 아니라 성공적인 농사에 시작이 된다. 2020년에는 어떤 농기계를 활용해서 농작업의 능률을 높일지 꼼꼼하게 살펴보자. 한국구보다(주)-최첨단 기술이 탑재된 한국구보다 KNW시리즈 주)불스 - 땅속작물 수확기 트랙터 부착식, BG-1400GN 얀마코리아(주) - 밀묘 사양 이앙기 출시(YR8D - 8조식) 대동공업(주) - 국산 농기계 기업 최초, 직진자율주행 이앙기 ERP80DZFA 두루기계통상 - 논콩전용 파종기 (DRP-2004SB) 동양물산기업(주) - 3년 연속 생산기대 완판 동양물산명품TS125를 이은 TS130 대형 트랙터 (주)장자동화 - 트랙터부착형 원판식파종기 JDTF-4RE 현일테크주식회사 - 세계최초 레이저 모듈 ‘팜캡스’ (주)케이보배 - 신개념 원격제어 “스마트 방제기” 씨엔테크 기술연구소 - 최적의 초미립자 구현 “CNtech_초미립자 무인방제기” (주)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이하, 농기평, 원장 오경태)은 농·식품 연구개발 과제를 지원하여 ‘잡곡 수확용 자주식 소형 콤바인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농촌인구 감소 및 고령화 심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 생산력 감소 추세로 밭농업 기계화에 대한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메밀, 율무 등 고소득 잡곡류는 산간지역 주변에서 재배되어 중·대형 콤바인 작업이 쉽지 않아 소규모 영세농가에게 적합한 소형 수확기 개발이 필요했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와 농기평은 2016년부터 3년간 잡곡 수확 작업의 노동력 절감을 위해 소형 수확기 개발 연구를 지원해왔다. 연구과제명은 잡곡 수확용 (22KW급) 자주식 소형 콤바인 개발 및 산업화로 이번 연구를 주관한 오페㈜ 연구팀은 “개발된 잡곡 수확용 콤바인으로 수확작업을 하면 기존 인력작업 대비 10배 이상 작업능률이 좋아 노동력 절감에 많은 도움이 된다.”라고 밝혔다. 작업능률은 메밀 또는 율무 등 잡곡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10a(1,000m2) 당 1시간 수준으로 인력 작업 대비 10배 이상 효율적이라고 설명했다. 이번에 개발한 잡곡 수확용 자주식 소형 콤바인의 가격은 국내 대형 및 일본산 농기계 가격 대비 약 5
오랫동안 LG전자에 가전모터를 공급해 온 ㈜씨앤엠에서 직접 제작한 모터와 펌프로, 파워펌 브랜드로 GS 펌프 주식회사(대표이사 김춘강)가 가압용펌프 3모델을 11월부터 출시하기 시작하였다. 주요 용도로는 저수압 지역 가압전용, 옥상 물탱크를 사용하는 아파트, 빌라, 단독 주택등에 가압용도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압용펌프의 경우 유량센서 채용으로 정압운전, 정숙운전을 실현하였으며, 원심 임펠러 적용으로 저소음 운전이 가능하다. 파워펌 가압용제품의 특장점으로는 펌프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아 방치하였을 경우 배관의 철분 또는 녹물이 유량밸브에 고착되어 유량밸브를 분해하여 청소를 하여야 할 경우 유량밸브 스크류만 분해하면 쉽게 청소가 가능하도록 설계하였으며, 힘쎈 국산 파워모터의 이미지를 강조한 디자인에 대해서도 디자인 특허 출원중에 있다(출원번호:제 30-2019-0040046, 30-2019-0040047). 그리고 GB-150MA제품의 경우 150W모터 출력 채용으로 타업체보다 힘쎈 모터를 적용하여 성능이 우수하다. 이러한 제품은 150 W 및 350W의 출력으로 GB-150MA(20mm), -350MA(20mm), -351MA(25mm) 3종류의 모델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사장 박철웅)은 국내 최초로 농업용 무인항공살포기(이하 농업용 드론)의 ‘실내 검정시스템’을 구축했으며, 지난 10일 오전 10시부터 전북 익산 송학동 소재 재단 농기계검정동에서 ‘농업용 무인항공살포기 실내 검정시스템 시연회’를 개최했다. 재단에서는 지금까지 종합시험 기준에 적합한 농업용 드론의 규격 등을 조사한 자료를 기초로 실내에서 실외 비행과 동일한 비행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드론 부착이 가능한 이동체와 레일 등으로 구성된 시스템을 설계·제작해 구축하게 됐다. 이번에 구축된 검정 시스템은 최대 폭이 3m 이하인 기체를 비행높이가 2.5∼4m로 조절이 가능하고, 비행속도는 0.5∼5m/s까지 조절이 가능할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약재 살포시 기체의 경사를 설정할 수 있고, 등속구간은 약4m로 하여 다양한 기체 조건에서 약재의 유효 살포 폭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드론 조정자의 조정기술에 따라 살포성능이 결정될 수 있는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외부에서 드론 운행 시 전동기 회전속도, 살포 높이 및 경사도 등을 측정한 후 실내 검정시스템에 동일하게 적용해 살포성능을 측정함으로써 객관적 살포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기존
국내 1위 농기계 기업 대동공업(대표이사 김준식, 하창욱)이 경남 창녕에 위치한 경남지역본부에 경남정비공장을 준공하며 전국 8도 직영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 완료했다고 12일 밝혔다. 대동공업은 지난해부터 서비스 지정점으로 운영되던 일부 지역에 있어 본사 직영의 정비 공장을 세워 고객에게 좀 더 신속 정확하고 수준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직영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것을 추진해 왔다. 지난해 대구시에 위치한 경북지역본부를 경북 구미로 이전하면서 정비공장의 시설 및 인력을 확충했고, 올해 상반기에는 강원정비공장의 리모델링을 단행했다. 이번에 경남정비공장을 구축하면서 전국 8개 도 직영 정비공장 기반의 지역 서비스 시스템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현재 대동공업의 지역정비공장은 ▲강원 춘천 ▲경기 용인 ▲충북 청주 ▲충남 공주 ▲전북 전주 ▲전남 광주 ▲경북 구미 ▲경남 창녕에 위치하고 있다. 경남정비공장은 올해 하반기에 경남지역본부(경남 창녕군 창녕읍 창녕공단길 39) 부지에 공사를 진행, 대지면적 약2,621㎡(약794평)에 정비공장 499㎡(151평), 세차장63㎡(약20평) 시설이 들어섰다. 정비 공장에는 크레인, 에어콤프레샤, 냉매자동회주입기, 등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겨울철에는 농기계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으므로 철저한 보관과 관리가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농기계의 성능을 충분히 유지하면서 오래 사용하려면 미리 농기계를 깨끗이 닦고, 회전이나 절단 부위, 벨트, 체인 등을 점검 후 철저히 정비해야 한다. 볼트나 너트가 잘 잠겨 있는지 확인 하고 클러치, 레버, 벨트는 풀어서 보관하며, 녹슬기 쉬운 부분은 오일이나 그리스를 발라둔다. 경유를 쓰는 농기계는 연료통에 습기나 녹을 막기 위해 연료를 가득 채운다. 휘발유를 쓰는 농기계는 가스가 생길 수 있으므로 연료통을 완전히 비워야 한다. 또한 엔진이 얼지 않도록 라디에이터에 부동액을 섞은 물을 규정량에 맞게 채운다. 냉각수를 뺄 때는 라디에이터에 물이 없다는 내용을 적어 붙여 놓는다. 타이어는 표준 공기압보다 조금 더 넣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차브레이크를 건 상태에서 바퀴 앞뒤로 고임목을 놓아 땅에 닿지 않게 하고, 가능하면 창고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트랙터, 이앙기, 콤바인 등 농기계마다 보관 시 유의사항이 다르므로 기종별 관리요령을 잘 따르도록 한다. 트랙터는 클러치를 밟아 고정하고, 부착된 작업기는 떼어놓거나 바닥에 내려 둔다. 이앙기
국내 1위 농기계 기업 대동공업(공동대표이사 김준식, 하창욱)은3분기에 별도 기준 매출 1,558억원, 영업이익 69억원을 올리며 3분기 누적으로 매출 5,300억, 영업이익 362억원을 기록, 전년도 연매출 4,758억원을 넘어서는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20일 밝혔다. 올해 3분기까지 별도 기준 누적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매출(3,763억원)과 영업이익(69억원) 대비해 각각 41%, 425%로 대폭 증가했다. 3분기 실적만 놓고 봤을 때도 매출 1,558억원, 영업이익 69억원을 올려 전년 동기 별도 기준 매출917억원, 영업이익 마이너스(-) 76억원과 대비해 매출은 70% 신장했고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이라는 큰 성장을 일궈냈다. 대동공업은 북미와 국내에서 지속적인 매출 신장으로 최대 실적을 달성한 것으로 보고 있다. 관련해 북미 법인의 연간 매출은 16년 1,759억원 대비 18년 2,334억원으로 약 33% 증가했고, 올해3분기 누적 매출도 2,207억원으로 전년 동기 1,815억원 대비해 약 22% 성장했다. 이는 16년부터 북미에서 딜러 대상의 자체 도매할부금융(In-House Financing) 서비스 도입, 주력인 60마력대 이하
오랫동안 LG전자에 가전모터를 공급해 온 ㈜씨앤엠(www.cnmmotor.com)에서 직접 제작한 모터와 펌프를 사용하여, GS펌프(주)(대표이사 김춘강)가 파워펌 브랜드(www.powerpum.com) 로 온수순환용 펌프 100W급(모델명:GH-100M)을 11월부터 출시했다. 주요 용도는 난방 온수순환용 및 각종 순환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기존에 출시 판매중인 타 제품에 비해 몇 가지 우수한 특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살펴 보면, 먼저 모터 출력을 100W로 높이 올려 파워펌 브랜드에 걸맞는 고출력의 강력한 국산모터를 채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음과 모터 수명과 직결된 베어링의 규격도 6201ZZ를 채용하여 타 업체 대비하여 사이즈가 큰 베어링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제품의 성능 즉 양정 및 양수량에 있어서도 최대 실양정 9.3m, 최대 실양수량 120l/min(온양정 2m 조건)로 동급 타 제품대비 약 15~20% 높은 성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더 폭 넓은 적용범위를 갖고 있다. 아울러 물이 접촉하는 접액부인 펌프케이싱과 모터 브라켓 부품을 전착도료에 담가 외부는 물론 내부까지 균일하게 도장하는 전착도장(electrophoresis coatin) 공
동양물산기업주식회사(회장 김희용)는 7일 본사에서 KT와 ‘5G 기반 자율주행 농기계 및 스마트팜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동양물산이 KT와 체결한 MOU는 5G 통신기반 자율주행 농기계 실증 및 사업화와 자율주행 농기계를 위한 정밀 측위 솔루션 개발, 국내.외 농기계 관제 서비스 개발과 제공, 스마트팜 사업 공동추진 및 시장기회 발굴 등을 추진하는데 협력하기로 했다. KT는 세계최초로 5G 기반 자율주행 기술을 평창올림픽에서 선보인바 있으며 최근 현대자동차와 차량통합관리서비스(FMS)를 확대하고 있어, 모빌리티 분야에서 축적한 자율주행, FMS, 글로벌 Connectivity 제공역량을 농업분야에 적용하여 자율주행 농기계의 상용화와 농업 선진화 발전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자율주행 농기계의 세계시장은 JOHN DEERE, TOPCON 등 다국적 기업들이 상용화에 매진하고 있으며, 북미 시장이 정밀농업을 포함한 가장 큰 시장으로 2026년 이후 150만대 이상의 수요가 예상되고 있다. 동양물산 관계자에 따르면 “2013년 국내 최초로 자율주행 트랙터를 개발한 이래 축적된 동양물산의 기술력과 5G 기반의 모빌리티
▲ 레이저조류퇴치기 전문업체 현일테크(주) 손일갑 대표이사(사진 좌측부터 2번째)가 수상자들과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야생동물 및 조류 피해예방을 위한 레이저조류퇴치기 전문업체 현일테크(주)(대표이사 손일갑)가 지난 5일 ‘2019 김제농업기계박람회’에서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현일테크는 지난 수년간 야생동물 퇴치기와 관련하여 이미 1세대 제품인 ‘팜캠스 HAP-2200'을 통해 그 효과 및 상품성에 대해 인정을 받아왔다. 또한 2세대 제품인 ’팜캠스 HAP-5000'은 전북대학교 수의과대학과 산학협력으로 농림축산식품부 과제인 ‘소규모 축산 농가에 적용 가능한 야생조수류 침입방지법’에 적용하여 야생철새로부터 발생하는 조류인플루엔자(AI) 예방을 위해 가금류 농장에 설치하여 그 효과를 인정받은 바 있다. 특히, 이번에 출시된 2.5세대 신제품 ’팜캡스 HAP-5200'은 기존에 출시된 제품이 레이저 빛을 직선으로만 회전시키던 것과 달리 신제품은 보다 강한 레이저 빛을 위로 5도, 아래로 15도의 각으로 상하운동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보다 광범위하게 레이저 빛을 발사해 야생동물 및 조류의 접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됐다. 현일테크 손
대전·세종·충남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이사장 신원택. 이하 대전·세종·충남작물조합) 임주혁 전무는 지난달 26일 개최된 중소기업중앙회 ‘제63회 정기총회’에서 협동조합 유공자로 선정되어 중소벤처기업부장관상을 수상했다. 임주혁 전무는 농촌진흥청 농약연구소 연구원을 시작으로 이후 동양화학 및 노바티스에서 대전·충남지점장과 전북지점장을 역임했으며, 이어서 신젠타코리아에서 근무, 마케팅부 이사로 퇴임했다. 2010년 12월부터 현 대전·세종·충남작물조합에서 전무이사직을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2021년 12월부터 전국작물보호제협동조합 실무이사협의회에서 회장직도 맡고 있다. 임주혁 전무의 이번 장관상은 심각한 사업 침체 위기에서, 지난 14년간 이사장을 성실히 보좌하면서 단결 역량을 발휘하고, 투명한 회계 관리와 혁신적인 공동사업으로 안정적 매출과 이익을 매년 지속적으로 상승시키는데 공로가 크다는 점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됐다. 임주혁 전무는 “조합에서 성실히 사업하시는 우리 조합원님들과 조합 임원님들 덕분에 큰 상을 받게 된 것 같다”며 “앞으로도 맡은 바 임무에 성심과 최선을 다해 조합 발전에 일조하도록 하겠다”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한편, 이날 '제63회 정기총회
2025년 을사년(乙巳年) 새해가 밝았습니다. 희망찬 새해를 맞아 소망하시는 모든 일을 이루시고 건강과 행복이 가득한 한 해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지난 한 해 녹록지 않은 상황 속에서도 든든하게 우리 농업과 농촌 현장을 지켜 주신 농업인, 그리고 농촌진흥공직자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025년에는 환경 대변화, 기술 대변혁의 시대에 우리 앞에 놓인 도전을 극복하고, 미래 세대에 희망을 주는 농업·농촌으로 성장하기 위한 변화와 혁신의 성과를 만들어 가겠습니다. 전국의 농업인 여러분, 그리고 국민 여러분! 지난해 말 농촌진흥청은 그간의 핵심사업을 재정비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 창출을 위해 첨단기술 융합과 민·관 협력을 기반으로 하는「농업연구개발 혁신방안」을 수립하였습니다. 올해 농촌진흥청은 혁신방안의 핵심내용인‘정책지원·현안해결 10대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주요 현안문제의 조속한 해결과 농업의 신성장 동력 창출을 위해 다음의 다섯 가지 사항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자 합니다. 첫째, 혁신기술로 핵심 농업정책 추진을 뒷받침하겠습니다. 생명정보 데이터를 활용해 육종 목표에 맞는 유전자원을 신속하게 발굴하는‘디지털육종’기술 혁신에 박차를 가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