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생육 후기는 수확을 앞둔 중요한 시기인 만큼 방제에 집중해야한다. 기상이변으로 잦은 강우와 고온이 지속됨에 따라 큰 피해가 우려될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예방위주로 방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육후기에 발생하는 이삭도열병의 경우 이삭패는 시기에 비가 자주오거나 잎도열병이 늦게까지 계속될 때 발생하며 이삭 패는 시기에 유·수화제로 2회 방제하는 것이 좋다. 흰마름병의 경우 고온, 집중호수로 인한 침수, 태풍과 강풍의 피해가 클 경우 발생하며 상습 침수 지역은 병 발생 전에 이삭도열병 방제 시 함께 방제해야한다. 벼멸구·흰등멸구의 경우에는 중국에서 날아오는 외래 해충으로 예찰시 한 마리에서 2마리 발견 시 약효가 긴 침투이행성 약제로 2회 방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기본적으로 논둑이나 제방의 잡초를 제거하는 것이 좋다.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다양한 생육후기 수도 병해충 제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자. 혹명나방, 노린재, 항공방제, 광역방제, 흰잎마름병, 세균성병해, 멸구류, 나방류, 흡즙성 해충, 나비목 유충,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혹명나방, 이화명나방, 벼멸구, 광역방제, 수도작 주요병해
(주)동방아그로 - 키다리병에 강한 신규 종자소독약 ‘씨엔조아’ 액상수화제 / (주)농협케미컬 - 물바구미, 도열병부터 잎집무늬마름병까지 ‘슈퍼모드니’ 입제 / (주)경농 - 무인항공기·광역분무기 최적화 제품! ‘항공스타’ 액상수화제 / 신젠타코리아(주) - 고품질 쌀생산을 돕는 든든한 동반자 ‘아리킬트’ 유현탁제 / 성보화학(주) - 종자소독 전문 살균제 ‘씨드캅’ 종자처리액상수화제 / (주)팜한농 - 수도 무인항공방제 최적 살균제 ‘헬리건’ 액상수화제 / 바이엘크롭사이언스(주) - 프로는 스마트하게 ‘리전트프로’ 입제 / SG한국삼공(주) - 항공방제, 광역방제의 기준 ‘벼천왕’ 유제 / 고려바이오(주) - 문고병 확실하게 잡는다 ‘문고119’ 유기농업자재
대전·세종·충남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이사장 신원택. 이하 대전·세종·충남작물조합) 임주혁 전무는 지난달 26일 개최된 중소기업중앙회 ‘제63회 정기총회’에서 협동조합 유공자로 선정되어 중소벤처기업부장관상을 수상했다. 임주혁 전무는 농촌진흥청 농약연구소 연구원을 시작으로 이후 동양화학 및 노바티스에서 대전·충남지점장과 전북지점장을 역임했으며, 이어서 신젠타코리아에서 근무, 마케팅부 이사로 퇴임했다. 2010년 12월부터 현 대전·세종·충남작물조합에서 전무이사직을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2021년 12월부터 전국작물보호제협동조합 실무이사협의회에서 회장직도 맡고 있다. 임주혁 전무의 이번 장관상은 심각한 사업 침체 위기에서, 지난 14년간 이사장을 성실히 보좌하면서 단결 역량을 발휘하고, 투명한 회계 관리와 혁신적인 공동사업으로 안정적 매출과 이익을 매년 지속적으로 상승시키는데 공로가 크다는 점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됐다. 임주혁 전무는 “조합에서 성실히 사업하시는 우리 조합원님들과 조합 임원님들 덕분에 큰 상을 받게 된 것 같다”며 “앞으로도 맡은 바 임무에 성심과 최선을 다해 조합 발전에 일조하도록 하겠다”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한편, 이날 '제63회 정기총회
2025년 을사년(乙巳年) 새해가 밝았습니다. 희망찬 새해를 맞아 소망하시는 모든 일을 이루시고 건강과 행복이 가득한 한 해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지난 한 해 녹록지 않은 상황 속에서도 든든하게 우리 농업과 농촌 현장을 지켜 주신 농업인, 그리고 농촌진흥공직자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025년에는 환경 대변화, 기술 대변혁의 시대에 우리 앞에 놓인 도전을 극복하고, 미래 세대에 희망을 주는 농업·농촌으로 성장하기 위한 변화와 혁신의 성과를 만들어 가겠습니다. 전국의 농업인 여러분, 그리고 국민 여러분! 지난해 말 농촌진흥청은 그간의 핵심사업을 재정비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 창출을 위해 첨단기술 융합과 민·관 협력을 기반으로 하는「농업연구개발 혁신방안」을 수립하였습니다. 올해 농촌진흥청은 혁신방안의 핵심내용인‘정책지원·현안해결 10대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주요 현안문제의 조속한 해결과 농업의 신성장 동력 창출을 위해 다음의 다섯 가지 사항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자 합니다. 첫째, 혁신기술로 핵심 농업정책 추진을 뒷받침하겠습니다. 생명정보 데이터를 활용해 육종 목표에 맞는 유전자원을 신속하게 발굴하는‘디지털육종’기술 혁신에 박차를 가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