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8 (금)

  • 구름많음동두천 15.5℃
  • 맑음강릉 19.4℃
  • 박무서울 15.7℃
  • 맑음대전 22.4℃
  • 맑음대구 22.6℃
  • 맑음울산 23.4℃
  • 맑음광주 22.9℃
  • 맑음부산 20.4℃
  • 맑음고창 21.1℃
  • 맑음제주 24.0℃
  • 구름많음강화 13.6℃
  • 맑음보은 21.7℃
  • 맑음금산 23.4℃
  • 맑음강진군 20.3℃
  • 맑음경주시 25.0℃
  • 맑음거제 19.9℃
기상청 제공

철저한 무병묘 관리, 고품질 고구마 생산지름길

바이러스병 예방 위해 매개충 방제 및 관리해야

전 세계적으로 고구마 바이러스는 총 30여종으로 보고돼 있으며, 국내에는 8종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중 잎말림 바이러스와 얼룩무늬 바이러스 등이 국내에서 주로 발생하며, 단독감염보다는 복합감염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농촌진흥청(청장 정황근)은 고구마 묘 심는 시기가 다가옴에 따라 고구마 재배지에서 많이 발생하는 바이러스병 발생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소개했다.


상품성 떨어뜨리는 바이러스 감염 원천차단 필수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수량이 줄어들고 표피가 거칠어지며 색깔이 변해 상품성이 떨어지므로 무병묘 이용과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고품질 고구마 생산을 위해 바이러스 무병묘의 사용이 늘고 있다. 바이러스 무병묘는 바이러스 감염묘를 사용했을 때보다 수량면에서 약 15%∼42%의 증수를 보이며, 고구마 표피 색깔이 더욱 선명하고, 크기 및 모양이 일정하게 유지돼 상품성이 좋다. 그러나 바이러스 무병묘로 생산한 씨고구마를 연속해서 사용하면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사용을 벗어나 수확량이 감소하거나 상품성이 떨어지면 새로운 무병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고구마 바이러스병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씨고구마와 매개충에 의해 발생하므로 바이러스 무병묘를 사용하는 것과 함께 병을 옮기는 담배가루이, 진딧물 등의 매개충 방제가 중요하다.
담배가루이의 방제는 먼저 묘상에 끈끈이 트랩을 설치한 뒤 트랩에 1마리∼2마리가 잡혀 있다면 담배가루이 약제를 뿌려야 한다. 국내에 발생한 담배가루이는 살충제 내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성분이 서로 다른 약제를 길게는 1주일 짧게는 3일∼4일에 한 번씩 다른 약제로 바꿔가며 처리해야 방제 효과를 볼 수 있다. 고구마에는 해당 매개충의 약제가 등록돼 있지는 않으나, 농가에서는 다른 작물에 등록된 복숭아혹진딧물 및 담배가루이 약제를 사용해 방제하기도 한다. 하지만 등록된 약제가 아니므로 약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내성방지 위해 교호살포 및 농자재 소독후 사용
진딧물 방제는 발생 초기에 복숭아혹진딧물 방제 약제를 잎의 뒷면에 뿌려야 한다. 약제의 경우 동일 성분의 약제를 계속 사용하는 것보다 다른 성분 약제를 순환해가며 뿌리는 것이 약제 내성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구마 종순을 자르는 가위나 칼은 알코올로 소독하거나 가열처리를 한 뒤 사용해야 바이러스의 감염을 줄일 수 있다.
고구마 바이러스 발생 시, 잎말림 바이러스, 모틀병 바이러스 등에 의한 복합감염은 약 20% 이상의 생산량 감소와 품질 저하를 가져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묘상에서 고구마 바이러스 감염 의심 증상을 발견하면 반드시 방제를 통해 매개충을 없앤다.
농촌진흥청 정응기 바이오에너지작물연구소장은 “고품질 고구마 생산을 위해서는 바이러스 무병묘를 사용하는 것과 함께 매개충 방제를 통한 바이러스 감염를 최소화해야 하며, 동시에 토양에서 감염되는 세균이나 곰팡이 피해 발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라고 전했다.


고구마 바이러스 병징 및 무병묘의 효과

고구마 잎말림바이러스

병징: 묘상에 고구마 심은 뒤 발아 초기에 주로 나타나며, 잎이 안쪽으로 말려 잎의 뒷면을 쉽게 볼 수 있다. 고구마가 자랄수록 이 병징이 완화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바이러스는 고구마 안에 여전히 존재하며 앞으로 수확 시 수량 감소 및 상품성 절하의 원인이 된다.


모틀병바이러스

병징: 잎에 보라색의 얼룩무늬 반점이 보이며, 이 병징은 잎말림 바이러스와 달리 생육 말기까지 병징을 보인다. 잎말림 바이러스와 마찬가지로 수량의 감소와 상품성의 절하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이다.



무병묘 사용 효과

무병묘 사용시 바이러스 감염묘에 비해 품종별로 14%~42% 수량 증수를 보였으며 외관 품질도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 연도: 2014년)





바이러스 매개충 담배가루이

담배가루이는 온실가루이와 아주 유사하게 생겼으며, 온실, 비닐하우스 작물에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바이러스 매개충이다. 바이러스 전염력이 빠르고 약제 내성이 강하며, 내성획득이 빨라 주성분이 다른 약제를 주기적으로 순환해가며 사용해야 방제 효과를 볼 수 있다. 주로 잎의 뒷면에 알을 낳고 흡즙 작용을 통해 식물의 영양분을 이용한다.  흡즙작용시 담배가루이 체내에 있던 바이러스를 식물에 감염시킨다.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