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2018년 농가소득 10% 증가, 평균 4천2백만원

가축질병 대폭감소, 쌀값 안정 등으로 농업소득이 28.6% 증가

농업인 소득안전망의 촘촘한 확충등 문재인 정부의 국정과제 성과로 2018년에 농가소득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농가소득은 평균 42백만원으로 전년 대비 10% 증가했다. 특히, 지난 10년 간 1,000만원 수준에서 정체하던 농업소득이 20181,292만원으로 증가한 것은 정부가 국정과제로 적극 추진해온 농산물 수급안정 정책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는 부분이다.

아울러, 직불금 확대, 농업인 국민연금 지원 강화 등 농업인 소득안전망을 확충한 결과, 농가의 이전소득이 1,000만원 수준으로 높아졌다.

 

< 소득종류별 농가소득 >

(단위 : 천원,%)

 

2014

2015

2016

2017

 

2018

 

증감률

('18/'17)

구성비

구성비

농 가 소 득

34,950

37,215

37,197

38,239

100.0

42,066

100.0

10.0

농 업 소 득

10,303

11,257

10,068

10,047

26.3

12,920

30.7

28.6

농업외소득

14,799

14,939

15,252

16,269

42.5

16,952

40.3

4.2

이 전 소 득

6,819

7,906

8,783

8,902

23.3

9,891

23.5

11.1

비경상소득

3,029

3,114

3,095

3,022

7.9

2,302

5.5

-23.8

 

소득원별로 살펴보면, 농업소득은 선제적 수급안정 대책 등으로 농업총수입이 경영비보다 크게 증가하여 전년 대비 28.6% 증가 했으며 농작물수입은 대부분 품목에서 증가하여 전년 대비 17.3% 증가했다,

(미곡)20년 전 수준으로 하락했던 쌀값의 안정화를 위해 추진한 선제적 시장격리와 논 타작물 재배 등 수급안정 대책의 영향으로 20175426,000원에서 20186756,000원으로 총수입이 전년 대비 24.5% 증가했다.

 

채소·과수의 경우는 채소가격안정제확대 등 사전적 수급조절 장치 강화, 대안유통경로 활성화를 통한 중소농가의 판로 확충 등의 영향으로 총수입이 각각 14.8%, 11.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축산물수입은 철저한 방역 조치로 가축 질병이 대폭 줄어들어 닭·오리 등의 생산·소비가 안정되면서 24.9% 증가 했다.

 

농업외소득은 농촌융복합산업(6차산업) 활성화 등으로 농가 사업이 다각화되면서 겸업소득 증가로 전년 대비 4.2% 증가 했으며 농촌융복합산업, 농촌관광 활성화 등의 영향으로 농업외소득 중 겸업소득이 22.5% 증가했다. 이전소득은 직불제 단가 인상, 농가 사회안전망 강화 등에 따라 공적보조금 중심으로 전년 대비 11.1% 증가하였다, 밭고정직불금, 조건불리직불금, 친환경직불금 등 직불제 단가를 ha5~20만원 인상한 것

 

 

농업인 국민연금 보험료 지원액 인상, 기초연금 지원대상 확대 등 사회안전망을 대폭 강화돼 농업인 국민연금 평균 금여액의 경우 2017386000원에서 2018399000원으로 인상되었다. 또한 다양한 농지연금 상품 개발, 홍보 강화 등으로 신규가입 활성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농가의 평균자산은 감소, 부채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지규모가 클수록, 축사 등 자본집약적 품목일수록 상대적으로 농가부채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 팜 등 농업 시설 투자가 증가하면서 고정자산이 전년 대비 10.1%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농업용 부채가 28.9%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농업분야의 고정자본 형성 효과가 발생했으며 고정자산 중 건물 및 구축물(32.3%), 기계기구비품(46.5%)이 크게 증가했다.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