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건전 유기농자재가 좋은 유기농산물을 만든다

관련산업 육성하는 방향으로 정책전환 필요

지나치게 자재 의존적인 유기농 생산도 문제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유기농산물의 생산과 소비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유기농자재 산업의 기반을 정비하고 올바른 사용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지나친 자재 의존적인 유기농산물 생산을 피하고, 유기농업자재에 대한 엄격한 품질관리와 함께 유기농업자재 산업을 육성하는 방향으로 정책의 전환이 필요하다.


지난 10여 년 간 늘어가던 유기농산물의 생산이 최근 들어 주춤하고 있다. 신규 인증은 정체되고 있고, 유기농산물 소비량도 위축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을 불러오는 요인 중 하나는 효과와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유기농자재의 잘못된 사용이다. 이로 인해 유기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는 떨어지고, 유기농산물 소비 또한 주춤하는 것이다. 따라서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유기농산물의 생산과 소비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유기농자재 산업의 기반을 정비하고 올바른 사용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유기농업에서는 화학비료를 대체할 수 있는 미생물비료, 식물추출물 등 생물비료, 합성농약을 대체할 수 있는 생물농약 등이 사용된다. 2000년 초반 1천억 원에 불과하던 국내 유기농자재 시장은 최근 약 1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앞으로 더 커질 전망이다.


그러나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다양한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2014년 농촌진흥청의 유기농자재 품질검사 결과 기준미달 비율은 7.9%에 이른다. 또한 친환경농산물 인증이 취소되는 경우 유기농자재와 관련된 것이 많아 관리를 보다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국내 유기농자재 시장, 약 1조원으로 추산
유기농자재는 일반적으로 화학비료나 합성농약에 비해 효과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병해충 발생이 증가하지만 방제 수단이 부족한 상황에서 유기농자재는 필수적이면서도 유용한 수단임에는 틀림없다. 유기농자재를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활용하면서 과용이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
첫째, 지나친 자재 의존적인 유기농산물 생산을 피해야 한다. 아무리 효과가 좋은 농자재라고 할지라도 재배환경이 열악하다고 한다면 소용이 없다.


국립농업과학원에서 화천의 한 유기농 토마토 농가에서 수행했던 현장연구의 사례를 보면, 재식거리를 늘리고 공기순환팬을 설치하는 등 시설 내 환경을 개선하였더니, 잿빛곰팡이병, 잎곰팡이병, 진딧물 등 병해충 발생이 매우 낮았다. 또한 수량과 소득도 주변 농가보다 30% 이상 높았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효과가 좋은 유기농업자재를 연구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효과를 제대로 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생물 다양성과 생태원리의 활용, 생물종간 상호작용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개발에 집중해야 한다.


둘째, 유기농업자재에 대한 엄격한 품질관리가 필요하다. 유박, 고삼 등 유기농자재 원료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엄격한 품질관리와 관리감독을 통해 안전한 경로를 통한 원료의 공급을 유도해야 한다. 또한 선의의 농업인들이 피해를 받지 않도록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산업체 경쟁력 강화 위한 연구개발, 창업지원 늘려야
 
셋째, 유기농업자재 산업을 육성하는 방향으로 정책의 전환이 필요하다. 유기농업자재에 대한 직접적인 보조금 지급보다는 유기농자재 산업체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연구개발 확대, 상품화 추진, 창업지원 등 간접적인 지원을 통해 경쟁력을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국내 유기농산물 생산수준은 매년 성장하고 있지만 아직 선진국들에 비해서는 미흡한 실정이다. 유기농업이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서는 생물의 다양성이 확보된 건전한 생태환경의 조성이 선행되어야 한다. 아울러 유기농자재의 철저한 품질관리를 통해 위해요소의 유입을 차단하고, 효과적인 유기농업자재가 생산·유통될 수 있는 기반조성이 필요하다.


또한 유기농산물 생산에서 유기농자재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건전한 유기농자재 연구개발에 좀 더 힘을 모을 필요가 있다.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