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13.1℃
  • 구름조금강릉 13.2℃
  • 구름많음서울 14.8℃
  • 구름많음대전 15.5℃
  • 구름많음대구 14.9℃
  • 구름조금울산 10.4℃
  • 흐림광주 16.0℃
  • 구름많음부산 12.5℃
  • 구름많음고창 11.1℃
  • 구름많음제주 14.4℃
  • 구름많음강화 10.3℃
  • 구름조금보은 11.9℃
  • 구름많음금산 12.6℃
  • 구름많음강진군 11.7℃
  • 구름조금경주시 9.4℃
  • 구름많음거제 12.0℃
기상청 제공

작물보호제

논잡초, 써레질 후 이앙후처리 중요

잡초에 따라 제초제 성분 선택해 살포

농촌진흥청이 효과적인 논 잡초 체계처리 방제법을 소개했다. 써레질 후 모내기 5일 전에 ‘물달개비’나 ‘올챙이고랭이’에 효과적인 옥사디아길유제, 프레틸라클로르유제 등을 1차로 처리하고, 이앙 후 12일∼15일에 다시 ‘벤조비사이클론’이나 ‘브로모뷰타이드’ 등과 ‘메페나셋’이나 혹은 ‘펜트라자마이드’가 혼합된 제초제들을 2차로 뿌리면 된다.


대표적인 논 잡초는 피,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등으로 이들은 종자 생산량이 매우 많고 발아율이 높아 종류별로 효과적인 제초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잡초는 발아 또는 출현 후에 제초제 성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제초제를 뿌린 다음에는 물을 3cm∼5cm 깊이로 최소한 5일 이상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발생 기간이 길어 관리가 어려운 올방개는 이앙 후 10일에 ‘벤퓨러세이트’ 성분이 혼합된 제초제들을 처리하고, 이앙 후 25일∼30일에 다시 ‘벤타존액제’ 또는 ‘벤타존·엠시피에이액제’를 분무기로 줄기와 잎에 뿌려준다. 또 한 해에 완전히 방제하기 어려우므로 3년∼5년 동안 꾸준히 밀도를 줄여가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추경(秋耕, 가을갈이)을 통해 올방개의 괴경(덩이줄기)을 겨울동안 얼어 죽게 함으로써 이듬해 발생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박태선 농진청 작물재배생리과 연구관은 “농가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올바른 제초제 선택과 사용 방법 교육을 강화하겠다”고 전했다. 이인용 농진청 작물보호과 연구관은 “논에서 문제되는 잡초들도 제때 적용 제초제를 정량 뿌리면 방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