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차를 앞둔 박근혜 농정이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 기반을 착실히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귀농귀촌인 일자리, 농외소득원 등 농촌 수요에 부합해 시의성 있게 6차산업화 정책이 추진됨에 따라 그 성과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특히 올해 6월 ‘농촌융복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해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또한 시제품 생산 및 창업보육을 지원하는 농산물종합가공센터를 올해 30개소로 늘리는 등 농업인의 창업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핵심주체를 6차산업 인증사업자로 지정(379개소)하고 안테나숍(11개소) 설치, 로컬푸드직매장(33개소) 입점 등 판로망 구축을 위해 적극적인 지원에 나섰다. 부존자원이 집적화된 지역을 6차산업화 지구로 9개소를 지정해 규제특례 적용 및 공동시설 지원 등을 통해 지역특화 클러스터로 육성한 것도 돋보이는 부분이다.
농식품수출의 지속적인 증가
국가전체 수출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농식품 수출은 지속적인 증가를 보였다. 2014년에는 국가전체 수출증가율이 2.4%를 기록했지만 농식품 수출증가율은 8.1%를 기록하는 등 기염을 토했다. 올해는 중국 T-mall, 연태시 백화점 내 한국 농식품관을 개설했으며, 2013년부터 올해 8월까지 삼계탕(중국), 포도(중국) 등 27품목의 검역협상을 타결해 수출애로를 해소했다.
농업-기업 상생협력 시스템 마련
농업-기업간 상생협력을 구축해 국내산 농산물 판매의 기회를 더욱 확대하고 있다. 올해 8월까지 농업과 기업간 상생협력 MOU 체결이 28건에 이른다. 상생협력 MOU를 체결한 기업의 경우 국내산 원료 구매가 협약 전보다 17∼65% 증가하는 성과를 나타냈다. 성공적인 상생협력 추진 사례를 보면, SPC-의령군이 MOU 체결을 통해 기업의 수요를 반영한 우리밀 품종 ‘조경밀’을 재배하고 있고 농심 수미칩의 경우 600여 농가와 연계하고 있으며 감자 상처치유, 갈변방지 기술개발 등도 성공적으로 도입했다.
ICT 첨단농업 농촌에 점차 확산
ICT기반의 첨단농업을 농촌에 확산하기 위한 기반도 성공적으로 마련하고 있다. 특히 ICT 융복합 모델 개발 및 자금 지원·컨설팅 등을 통해 스마트팜 확산에 나서고 있다. ICT와 유통·가공·에너지·문화 등을 융합하는 창조마을도 2014년 세종(SK)에 이어 올해 청학동(KT)에 조성했다. ICT 융복합 관련 사업예산도 올해 256억원으로 확대해 관련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