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지속되는 고온 다습한 날씨에 각종 벼 병해충이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벼멸구 피해 소식이 연이어 들리고 있다. 벼멸구는 6~7월 저기압 통과 시 중국 대륙으로부터 비래되어 발생하며, 날아온 후 우리나라에서 평균 2~3세대를 경과하면서 기하급수적으로 번식하며 피해를 준다.
약제 성분 상하좌우 이동, 숨은 벼멸구까지 완전방제
통상 벼멸구의 1차 방제는 증식원을 줄이기 위해 7월말~8월초에 방제하고 있으나, 이 때 방제를 놓치거나 또는 방제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저항성 벼멸구까지 방제되지 않는 약제를 처리했을 경우 “9월 긴급 방제”가 권장된다.
신젠타코리아㈜는 이에 대해 기존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저항성 벼멸구까지 확실하게 방제하는 플래넘 입상수화제를 추천하였다. 플래넘은 벼 작물체내에 흡수되면 물관/체관을 통해 상하좌우로 약제가 이동하기 때문에 볏짚 하단에 숨어있는 벼멸구까지 방제한다. 플래넘은 약제 처리 즉시 벼멸구의 섭식이 중단되어 작물의 피해를 최소화하여 수확량 손실에 대한 우려가 없으며, 꿀벌 등 유익충에도 안전하여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