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고구마묘 기르기는 건전한 씨고구마 선별에서 시작한다. 씨고구마 파종시기가 다가옴에 따라 농진청이 적정 간격 파종, 온도관리, 상토관리 등 고구마묘 기르기 방법을 소개했다. 고구마 모종을 본답에 삽식해 뿌리를 잘 내리게 하고 초기 생육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고구마 싹이 굵고 마디 간격이 짧으며 병원균에 감염되지 않은 모종을 생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 고구마 모기르기에 적당한 씨고구마의 크기는 150g∼200g 정도, 육묘상 면적은 본밭 10a 삽식을 기준으로 10㎡로, 종자량은 70㎏∼100㎏ 정도를 준비한다.
▲ 검은무늬병, 무름병에 감염되지 않고 냉해를 입지 않은 건전한 씨고구마를 선별해 고구마 사이 간격을 5㎝, 줄과 줄 사이 간격은 10㎝ 정도 띄워 심는 것이 좋다. 또한 머리쪽(고구마 줄기가 달려있던 부분)에서 싹이 나므로 한쪽 방향으로 향하게 하면 싹이 고르게 자라 순자르기 작업이 편리하다.
▲ 건강하고 병 없는 고구마 모종 비율을 늘리기 위해서는 품종에 따라 적정 간격으로 파종해야 한다.
분질고구마(밤고구마)인 율미, 진홍미, 다호미는 5㎝∼10㎝, 중간질고구마(밤호박고구마)인 호감미, 풍원미는 2㎝∼5㎝ 이내로 파종했을 때 줄기 직경이 3㎜ 이상인 건강한 고구마 모종을 생산할 수 있다.
▲ 품종별 적정 간격 파종 시, 씨고구마량을 밀식파종 대비 31% 절약할 수 있고, 본답에 건강한 모종 삽식으로 덩이뿌리 수량을 약 39% 높일 수 있다.
▲ 고구마 싹이 잘 트기 위해서는 온도가 매우 중요하다. 토양 온도를 30℃∼33℃로 유지하고, 싹이 튼 뒤에는 23℃∼25℃ 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 모판흙(상토)은 마르지 않게 관리하되, 지나치게 습할 경우 고구마가 썩거나 흰비단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병에 걸린 고구마는 주변 흙까지 파서 버리고 다른 고구마로 다시 심어야 한다.
▲ 본답 삽식 혹은 모종 증식을 위해 싹을 자를 때에는 묘의 밑동부분 2마디∼3 마디를 남기고 잘라야 새싹이 돋아나기 쉽고 검은무늬병 전염을 억제할 수 있다. 묘를 자른 뒤 요소 1% 액을 1㎡당 1ℓ∼2ℓ를 주면 싹이 나는데 도움이 된다.
농촌진흥청 바이오에너지작물연구소 정응기 소장은 “고구마재배의 성패는 고구마 묘 기르기부터 시작되므로, 씨고구마 선별과 관리를 철저히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