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6 (수)

  • 맑음동두천 16.2℃
  • 구름많음강릉 20.3℃
  • 맑음서울 16.4℃
  • 맑음대전 19.4℃
  • 구름많음대구 19.0℃
  • 구름많음울산 14.8℃
  • 맑음광주 16.9℃
  • 구름많음부산 15.2℃
  • 구름많음고창 16.0℃
  • 맑음제주 21.1℃
  • 구름많음강화 15.7℃
  • 구름많음보은 13.0℃
  • 맑음금산 17.5℃
  • 맑음강진군 17.3℃
  • 구름많음경주시 16.3℃
  • 맑음거제 14.7℃
기상청 제공

올해 콩 농사 판로 걱정 없이 짓는다

수매가격 인상 및 물량 확대, 국산콩 수요기반 넓혀

전북 김제시 죽산면 A작목반에서는 지난해 논에 벼를 재배하지 않고 콩을 재배하여 ha 750여만원의 수익을 올렸다. 이는 벼 재배 소득이 660여만원(2015년 기준, 변동직불금 포함)인 것에 비해 14% 더 높은 수준으로 2016년 기준 죽산면의 논콩 재배면적은 199에 이르며, 2017년에는 400(여의도 면적의 약 1.4)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 국내 생산량 매년 감소 추세

콩은 식물성 단백질의 주요 공급원으로 된장두부콩나물 등의 주원료이나, 콩 재배면적생산량은 20147465213900020155666610420164901475톤 등 최근 몇 년간 재배면적 감소작황불량 등으로 국내 생산량이 매년 감소하고 있다.

이에 전년도 수확기(11~12) 콩 평균 도매가격이 2015년 대비 4195/kg 20165080/kg으로 20% 이상 상승하였고, 제주지역의 태풍피해로 국내 콩나물콩 수급도 불안한 상황이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재수, 이하 농식품부)는 국산 콩의 식량자급률을 제고하고, 논에 벼가 아닌 다른 작물 재배 유도를 위해 2017년산 국산 두류(··녹두) 수매계획을 발표하였다.

수매가격은 국산 콩 생산 확대를 위해 전년 대비 3.7% 인상한 4011/kg(대립1등 기준, 콩나물콩 4165/kg)으로 결정하였으며, 물량은 2016년 대비 5000톤 증량한 3만톤을 수매할 계획이다. 정부수매를 희망하는 농가는 320일부터 69일까지 지역농협을 통해 수매약정을 체결할 수 있으며, 수매는 11월부터 약정농가를 대상으로 이루어진다.

논 타작물 재배 확대 및 농가 편의 제고를 위해 수매방식도 일부 개편하여 추진한다.

우선 당초 10월부터 12월 사이에 이루어지던 콩 수매일정이 11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로 조정된다. 이는 벼 공공비축매입 시기와 중복되는 10월의 경우 지역농협에서 콩 수매 일정을 벼 수매 이후에 지정하는 경우가 많고, 최근 수확기 기상악화 등으로 콩 수확 및 선별작업이 지연되는 경우가 반복됨에 따라 이루어진 조치이다.


1. 2017년산 두류(··녹두) 수매 추진계획

구 분

녹두

수매물량

30,000

100

50

수매가격(1)

4,011/kg

5,194/kg

7,002/kg

수매대상

농가매입

매입방식

농가와 약정체결(* 일부 물량은 aT에서 직접 수매)

  

판로확보 위해 수매물량 확댇 및 aT 직수매도입

논 타작물 재배에 따라 생산량 증가가 예상되나 마땅한 판로를 확보하지 못한 농업인을 위해 수매물량 중 1만톤은 논콩을 대상으로 하는 한편, 일부 물량에 대해서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서 직접 수매하는 방식도 도입된다. aT에서 직접 수매한 물량은 대량 수요처와 선 계약 판매함으로써 향후 국산콩에 대한 수요기반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국립종자원에서는 콩 정부 보급종 1326톤을 317일까지 시군농업기술센터(농업인상담소)읍면동 주민센터를 통해 신청 받고 있으며, 종자공급은 43일부터 512일까지 지역농협을 통해 받을 수 있다. 농촌진흥청에서도 중앙 및 지역단위 전문가로 구성된 현장기술지원단을 연중 운영하여 작부체계 등 논콩 재배 매뉴얼을 보급하고 논을 이용한 콩 생산 전 과정에 대한 기계화 기술 교육을 실시한다.

한편, 국내 콩 생산량 확대 추진에 따라 저율관세할당(TRQ) 수입 물량은 최소화하여 운용한다.

대두의 경우 2016TRQ 수입물량은 총 289000(증량 59000톤 포함)이었으나, 2017년 증량 수준은 전년 대비 축소하여 운용할 예정이며, 향후 TRQ 도입물량도 20167월 수립한 밭 식량산업 발전대책에 따라 지속적으로 축소 운용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논 타작물 재배의 적극적인 추진과 콩 비축수매를 통해 식량자급률 향상 및 국산콩 생산 확대에 힘쓸 것이라며, “정부수매물량은 가격 상승기에 방출하여 수급 및 가격 안정을 도모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이번 수매계획에 따라 농업인은 종자 확보 등 영농계획 수립에 철저를 기하고 지자체 등 유관기관에서도 논에서의 타작물 재배확대 등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힘써 줄 것을 당부하였다.


 2. 2017년 콩 시·도별 수매약정 배정물량

(단위: )

구분

일반콩

콩나물콩

30,000

19,000

10,000

1,000

서울

1

0.5

0.5

-

부산

35

4

31

-

대구

55

25

30

-

인천

170

60

110

-

광주

110

40

70

-

대전

35

20

15

-

울산

79

20

59

-

세종

65

20.5

44.5

-

경기

2,250

1,175

1,070

5

강원

1,925

1,470

450

5

충북

4,945

4,405

500

40

충남

3,085

1,300

1,780

5

전북

3,700

2,105

1,580

15

전남

3,980

1,910

2,050

20

경북

5,730

4,390

1,310

30

경남

1,835

930

900

5

제주

2,000

1,125

-

875

1. 시도별 배정물량 내에서만 약정할 수 있으며, 밭 배정 물량은 논·밭 관계없이 약정 가능

2. 지역별 논콩 약정물량은 aT 직접수매물량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3. ·녹두 배정물량은 전년도 약정 배정물량에 준함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