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김창길)이 1월 18일 ‘미래를 향한 농업‧농촌, 변화와 도전’을 주제로 2017 농업전망대회를 개최한다. 올해로 20주년을 맞은 이번 대회에서는 국제 질서와 농식품 시장의 변화 등 대내외적 환경 변화를 짚어보고 대응 방안을 검토해 한국 농업‧농촌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한다. 이날 서울대회를 시작으로 호남권은 2월 7일 전북도청에서, 영남권은 2월 9일 경북도청에서 각각 열린다.
쌀과 축산업 생산액 증가, 농업생산액 전년대비 0.8% 증가 전망
2017년 농업생산액은 전년대비 0.8% 증가한 43조 2770억원으로 추정,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대비 1.3% 감소한 24조 3420억원으로 예측된다. 이중 곡물 생산액은 전년대비 1.4%(쌀 생산액은 1.2%) 증가, 과실은 2.2%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작황부진으로 가격 급등했던 채소는 생산량 회복으로 전년보다 가격하락 예상되어 5.2% 생산액 감소가 전망된다. 축산업 생산액은 AI 발생에 따른 산란계, 오리 가격상승으로 전년대비 3.7% 증가한 18조 9350억원으로 추정된다. 한육우(△1.7%)와 돼지(△1.6%) 생산액 전년대비 감소할 전망이다.
배합사료가격 하락・국제유가 상승, 농업경영비 0.3% 증가 추정
국제곡물가격의 하향안정세로 배합사료가격은 전년대비 0.5% 하락하나, 국제유가 상승 영향으로 영농광열비・영농자재비 등 투입재 가격은 전년대비 1.6%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농업경영비는 전년대비 0.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농업생산액 증가폭(0.8%)이 농업경영비 증가폭(0.3%)보다 커서 2017년 농업소득은 전년대비 1.8%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2016년 농업소득은 전년대비 2.6%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호당 농업소득과 농외소득이 전년보다 각각 1.8%, 2.4% 증가해 2017년 호당 농가소득은 전년대비 0.5% 증가한 3831만 원으로 계측된다.
농가인구 2.1%, 농가호수 1.4% 전년대비 감소 예측
2017년 농가인구는 전년대비 2.1% 감소한 247만 명으로, 농가호수는 전년 대비 1.4% 감소한 106만 호로 추정된다. 한편 65세 이상 농가인구 비중은 전년보다 0.9%p 증가한 40.2%로 예측되어 농가인구의 과소화 및 고령화 현상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농촌인구는 귀농・귀촌 영향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측된다.
2017양곡년도 단경기 쌀 가격은 수확기 가격(12만9807원/80㎏)대비 4.0% 상승한 13만5000원/80㎏ 수준으로 추정된다. 2017년 벼 재배면적은 전년대비 2.1% 감소한 76만2000㏊, 평년단수(522㎏/10a) 가정 시 2018양곡연도 쌀 생산량은 397만9000톤 수준으로 예상된다.
한우고기 도매가격 5.0%・돼지고기 지육가격 3.3% 하락 추정
2017년 한육우 사육마릿수는 송아지 생산마릿수보다 도축마릿수 규모가 커 전년대비 1.0% 감소한 267만 마리로 예상된다. 도축마릿수 증가로 2017년 국내 쇠고기 생산량은 2016년보다 3.5% 증가한 22만 7000톤, 쇠고기 수입량은 0.7% 증가한 36만4000톤으로 전망된다.
2017년 돼지 사육마릿수는 2014년부터 이어진 후보돈 입식 증가로 전년대비 3.1% 증가한 1080만 마리로 예측된다. 도축마릿수 증가로 2017년 돼지 지육가격은 전년보다 3.3% 하락한 ㎏당 4450원으로 추정된다.
2016년 말 HPAI 발생으로 매몰 처분된 산란계 사육마릿수가 2300만 마리로 계란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여 2017년 계란 산지가격은 전년보다 62.3% 상승한 1772원/특란 10개로 계측된다.
오렌지 및 열대수입과일 소비량 증가・국내과일 소비 정체
2017년 6대 과일 재배면적은 전년보다 0.7% 감소한 10만8000㏊ 수준으로 예상된다. 작황이 평년 수준일 경우 2017년산 과일 생산량은 전년과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 사과와 복숭아는 재배면적이 각각 1%, 5% 증가하는 반면, 배・포도・감귤・단감은 각각 2%・11%・1%・2% 감소가 예상된다. 2017년 사과・포도・단감의 생산량은 증가하나 배・감귤은 감소하며, 복숭아는 전년과 비슷한 수준일 전망이다. 2017년 과일 수입량은 전년보다 2% 증가한 83만5000톤 수준으로 보인다. 오렌지와 포도 수입량은 각각 5%・4% 증가하겠으며, 열대과일은 1%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2017년 상반기 엽근채소 가격 전년대비 상승 , 양념채소는 하락
2017년 엽근채소 상반기 가격은 기상악화에 따른 작황부진으로 겨울작형 생산량이 감소하여 전년보다 높을 전망이다. 시설봄작형 재배의향 증가로 출하가 본격화되는 5월 이후 가격은 하락세로 전환될 전망이다. 2017년 엽근채소 재배면적은 6만2317㏊로 전년대비 9%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배추・무 재배면적은 전년보다 10% 내외 증가하며, 양배추・당근은 전년과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 2017년 주요 엽근채소(배추, 당근) 수입량은 국내 생산량 증가로 전년보다 6%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2017년 건고추 재배면적은 전년대비 9%・양파는 10% 감소하나, 마늘과 대파는 2016년 가격 상승으로 전년대비 각각 7%・11%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2017년 상반기 건고추 가격은 공급량이 많아 전년보다 낮을 것으로 전망되며, 양파는 재고량 증가로 전년보다 낮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마늘 가격은 수입량 증가로 2017년산 수확기 이전까지 전년보다 낮을 전망이며, 대파는 겨울대파 출하량 감소로 1월까지는 전년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표. 농업부문 생산액 전망
(단위: 10억 원, 경상)
| 2015 | 2016 (추정) | 2017 | 2021 | 2026 | 연평균 변화율(%) | ||||
16/15 | 17/16 | 26/16 | ||||||||
농업 총 생산액 | 44,519 | 42,937 | 43,277 | 44,475 | 48,886 | -3.6 | 0.8 | 1.3 | ||
| 재배업 | 25,307 | 24,673 | 24,342 | 24,496 | 25,060 | -2.5 | -1.3 | 0.2 | |
| 곡물류 | 8,830 | 7,633 | 7,741 | 6,850 | 6,200 | -13.6 | 1.4 | -2.1 | |
채소류 | 8,989 | 9,700 | 9,194 | 9,752 | 10,278 | 7.9 | -5.2 | 0.6 | ||
과실류 | 3,687 | 3,453 | 3,531 | 3,742 | 4,069 | -6.3 | 2.2 | 1.7 | ||
| ||||||||||
특용·기타 | 1,474 | 1,466 | 1,465 | 1,638 | 1,871 | -0.5 | -0.1 | 2.5 | ||
| 축잠업1) | 19,212 | 18,264 | 18,935 | 19,978 | 23,826 | -4.9 | 3.7 | 2.7 | |
| | 한육우 | 4,708 | 4,465 | 4,388 | 4,700 | 5,374 | -5.2 | -1.7 | 1.9 |
| 돼지 | 6,967 | 6,770 | 6,660 | 7,077 | 8,497 | -2.8 | -1.6 | 2.3 | |
| 닭 | 1,910 | 1,990 | 2,084 | 2,286 | 2,865 | 4.2 | 4.8 | 3.7 | |
| 계란 | 1,837 | 1,563 | 2,214 | 1,947 | 2,441 | -14.9 | 41.6 | 4.6 | |
| 젖소 | 2,285 | 2,215 | 2,219 | 2,316 | 2,464 | -3.1 | 0.2 | 1.1 | |
| 오리 | 814 | 618 | 706 | 915 | 1,313 | -24.0 | 14.2 | 7.8 |
주: 1) 농림수산식품 주요통계 2012 책자부터 축산업에 양잠업을 합친 축잠업을 발표
자료: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 주요통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ASMO(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