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맑음동두천 10.3℃
  • 맑음강릉 11.2℃
  • 맑음서울 10.8℃
  • 맑음대전 11.9℃
  • 맑음대구 14.1℃
  • 맑음울산 10.9℃
  • 구름많음광주 11.7℃
  • 맑음부산 11.5℃
  • 구름많음고창 7.4℃
  • 구름많음제주 10.7℃
  • 맑음강화 5.2℃
  • 맑음보은 10.8℃
  • 맑음금산 11.3℃
  • 구름많음강진군 10.6℃
  • 맑음경주시 10.8℃
  • 맑음거제 11.1℃
기상청 제공

미생물이란? 19. 미생물 분비 ‘효소’

“미세한 세균이 분해하는 효소 1000개가 넘어”

 
미생물 분비 효소→포도당·유기산 등 분해→식물흡수

이제까지 미생물이 분비하는 효소의 역할 및 중요성을 설명을 했는데 아직도 많은 농민들은 효소가 미생물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는 것 같다. 효소는 미생물이 분비한 물질중의 하나이다. 사람이 눈물과 콧물을 흐리고 땀을 내서 몸 상태를 유지하는 것처럼 미생물들도 몸 밖으로 여러 가지 물질을 분비하는데 그러한 물질들을 효소라고 한다.

지난 호에서도(제51호, 8월 1일자 29면) 이야기를 했듯이 흙속에 서식하는 미생물들이 직접적으로 볏짚과 같은 유기물을 분해·섭취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미생물이 몸 밖으로 내보내는 다양한 효소를 통하여 유기물을 분해하는 것이다. 오늘은 우리 생활 전반에 걸쳐 미생물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하여 이야기를 하겠다.

토양 속으로 투입되어지는 유기물은 반드시 미생물이 분비하는 효소에 의해 식물이 흡수할 수 있는 포도당, 유기산 등으로 잘게 분해된다. 반면, 요소나 인산가리와 같은 화학비료는 효소의 작용 없이 흙에 뿌려지자마자 토양수에 녹아 식물 뿌리에 곧바로 흡수가 되므로 효과가 빠르다. 유기물은 미생물의 중간 작용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화학비료는 미생물의 작용이 필요 없다는 것이다.

토양 환경에 민감한···유익 미생물
유기물이 많이 살포된 토양은 미생물의 활동이 왕성한 반면 화학비료가 주로 살포된 토양에는 미생물이 살 조건이 못 된다. 불행스럽게도 우리가 병원성 곰팡이라고 싫어하는 역병, 탄저병 그리고 시들음병과 같은 곰팡이들은 화학비료가 많이 살포된 토양에서도 죽지 않고 생존해 나가는 능력이 뛰어나다.

그러나 방선균, 유산균과 같은 유익하다고 알려진 미생물은 토양 환경이 조금만 변해도 그 밀도가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화학비료를 살포하면 당장 눈의 띄는 효과는 좋을지 모르지만 토양 내 미생물상이 급격히 파괴되는 것이다.

사람은 몸에 필요한 양분을 음식물 섭취를 통해 건강을 유지하게 되는데 먹는 음식물을 보면 밥, 김치, 생선, 고기, 나물, 젓갈 등으로 이러한 것들은 우리 몸에 들어와 세미한 물질로 분해돼 영양성분으로 흡수되게 된다. 이때에도 효소의 작용이 빼 놓을 수 없을 정도로 중요하다. 먼저 밥을 먹으면 입속에 있는 침에 의하여 밥알 덩어리가 포도당으로 변하여 위로 보내어진다.

위에서는 생선, 고기와 같은 음식이 분해돼 아미노산으로 되는데 이는 위에서 펩신과 쓸개즙과 같은 효소가 분비돼 분해된 결과이다. 이렇게 포도당과 아미노산으로 잘게 부수어진 성분들은 우리 몸의 소장에서 하나도 남김없이 흡수돼 우리 몸을 구성하는 성분과 에너지가 되는 것이다.

“우리 몸의 모든 작용··효소의 작용”
그러면 김치하고 나물과 같은 채소류는 어떻게 분해가 될까? 김치나 나물은 섬유소라고 하는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어 아쉽게도 우리 몸에서는 채소류의 구성성분인 섬유소를 분해하는 효소가 나오질 않는다. 즉, 먹어봐야 흡수할 주요 영양가는 없고 미네랄과 맛으로만 먹었기 때문에 20여년전만해도 식품영양학에서는 김치와 채소류의 구성성분인 섬유소를 주요 영양소 안에 포함하지 않았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 섬유소가 대장의 운동을 활발하게 하고 대장에 있는 음식물의 찌꺼기(대변)들을 서로 뭉치게 도와줘 몸 밖으로 배출을 원활하게 한다는 보고가 잇따르면서 섬유소를 주요 영양소로 인정하게 된 것이다. 그래서 변비가 있는 사람들이 채소를 많이 섭취하고 섬유질이 들어있는 제품을 섭취하는 것이 이와 같은 이유이다. 이렇게 우리 몸의 모든 작용은 효소의 작용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효소는 우리 건강에 밀접한 관계를 하고 있다.

이렇듯 우리 몸을 비롯한 모든 생물의 몸에서는 너무 나도 다양한 효소가 그 역할을 하여 생명체가 유지되는 것이다. 1~2㎛밖에 안 되는 아주 미세한 세균이 분비해내는 효소의 종류가 1000개가 넘는다고 하니 그 다양함에 놀라울 뿐이다. 식물도 효소에 의해서 광합성도 하고 호흡도 하며 응애와 진딧물, 노린재와 같은 곤충들도 체내에 다양한 효소의 역할에 의하여 번식도 하고 생존도 하는 것이다.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