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4 (화)

  • 맑음동두천 -5.4℃
  • 맑음강릉 -1.7℃
  • 맑음서울 -5.9℃
  • 구름조금대전 -3.2℃
  • 맑음대구 -1.0℃
  • 맑음울산 -0.5℃
  • 광주 -2.2℃
  • 맑음부산 1.9℃
  • 흐림고창 -3.9℃
  • 제주 2.0℃
  • 구름조금강화 -7.3℃
  • 구름많음보은 -4.6℃
  • 구름조금금산 -3.3℃
  • 구름많음강진군 -1.0℃
  • 맑음경주시 -0.4℃
  • 맑음거제 1.0℃
기상청 제공

식중독균 리스테리아 ‘특이유전자’로 신속하게 진단한다

농촌진흥청, 리스테리아에만 있는 특이유전자 찾아 진단용 물질 개발
네이처 발간 국제학술지(Scientific Reports)에 논문 게재…올해 하반기 진단도구(키트)로 상용화 계획
수출 팽이버섯에 적용, 관련 산업 활성화에 기여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대표적인 식중독균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이하 리스테리아)’를 신속 정밀하게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그 결과를 국제학술지에 논문으로 게재했다.

 

연구진은 전 세계가 공유하는 유전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리스테리아에만 있는 특이유전자를 찾아 이 유전자와만 반응하는 진단용 물질(유전자 탐침자)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새로 개발한 검출 기술을 적용하면, 평소 2~3일 걸리던 리스테리아 진단 시간이 1.5시간으로 줄어든다. 정확도는 90% 이하에서 100%까지 높아진다.

 

이 기술은 리스테리아 균의 종을 가려 진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균 배양과 유전자 추출을 위한 시료 전처리 과정 없이 균의 마릿수까지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농촌진흥청은 기술을 특허 출원하고 전문 개발업체에 기술이전 해 올해 하반기 진단도구(키트)로 상용화할 예정이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시군농업기술센터, 버섯 수출 농가, 일반 식품업체 등에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2020년 이후 수출 팽이버섯에서 식중독 세균인 리스테리아가 검출돼 미국 등 주요 수출국에서 통관이 거부되는 사례가 있었다.

 

리스테리아와 같은 미생물은 눈에 보이지 않아 식별이 어렵다. 또한, 버섯 등 신선 농산물은 살균, 소독하면 색이 변하는 등 상품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어 식중독 세균 오염 여부를 확인하고 오염원 자체를 차단하기 위한 미생물 신속 정밀 진단기술이 꼭 필요하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에서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Scientific Reports (IF 3.8)에 게재돼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농촌진흥청 정수경 유해생물과장은 “미생물 신속 정밀 진단기술은 농산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핵심기술이다.”라며, “이번에 개발한 기술이 팽이버섯 등 수출 농산물과 식품업체의 식품 안전성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