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2 (수)

  • 맑음동두천 6.1℃
  • 구름조금강릉 8.4℃
  • 맑음서울 8.7℃
  • 맑음대전 8.4℃
  • 맑음대구 8.3℃
  • 맑음울산 6.9℃
  • 맑음광주 9.4℃
  • 맑음부산 8.3℃
  • 맑음고창 3.1℃
  • 맑음제주 9.6℃
  • 맑음강화 2.3℃
  • 맑음보은 4.5℃
  • 맑음금산 6.1℃
  • 맑음강진군 5.1℃
  • 맑음경주시 3.7℃
  • 맑음거제 6.5℃
기상청 제공

이상기후, 농업 지원의 공감대 형성계기로

“먹을거리의 중요성을 국민들 모두가 다시금 인식하는 계기로 활용함으로써 농업 지원의 필요성과 확대를 위한 공감대 형성을 이끌어 내야 한다.”

올해 봄 40년 만에 가장 적은 일조량으로 홍역을 치른 농작물 가격이 폭염과 소나기성 강우 등으로 이어지는 이상기후가 반복되면서 하루가 다르게 치솟고 있다. 민속 최대 명절인 추석을 앞두고 정부는 연일 수입농산물 공급확대 등 물가안정을 위한 대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중과부적의 모습이다.

한국물가협회는 서울시내 재래시장에서 과일류·견과류·나물류 등 추석 제수용품 28개 가격을 조사한 결과, 추석 차례상 비용이 가구당 19만4540원이 들 전망이라고 지난 14일 밝혔다. 이 비용은 물가협회가 똑같은 방식으로 조사했던 보름 전 17만9220원과 비교해 8.5%오른 수준이다.

품목별로는 과일류가 이상기후와 태풍 ‘곤파스’의 영향으로 낙과가 많아져 큰 폭으로 오름세를 보였다. 사과와 배가 보름전보다 무려 34.5%가 올랐다. 나물과 채소류의 가격 오름세는 이 보다 더 심각하다. 애호박은 보름 전보다 49.7%, 시금치와 대파는 각각 10.4%와 49.8%가 올랐다.

추석 대목을 맞은 만큼 농산물 가격의 오름세가 당연한 결과이지만 예년과 다르게 너무 가파른 오름세라는 점에서 심각성을 더해준다. 더욱이 추석이후에도 산지에서 원활한 물량을 공급하지 못하는 상황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농산물 가격 대란 발생까지 우려되고 있다.

정부는 이 같은 농산물 가격의 가파른 상승에 대해 이상기후에 따른 단기적인 현상이라면서 추석이후에는 괜찮을 것이라는 비교적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현장 농민과 소비자가 느끼는 농산물 체감경기는 사뭇 다르다. 지역마다 편차가 있지만 강원도 화천지역에서는 배추 한포기에 1만원을 호가하고 대부분지역이 포기당 5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에 따라 매년 추석에 찾는 자녀들에게 담가주던 김치를 차마 담지 못하겠다는 농촌지역 어머님들의 푸념이 들려오고 있다. 이 뿐만이 아니다. 김장배추 모종을 심었던 농민들은 잦은 비에 모종이 다 녹아서 몇 번을 다시 심었지만 잘 자라 줄지는 장담할 수 없다며 고개를 내젓는다. 배추 모종 가격도 1포기에 500원에 달하지만 이마저도 구입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곧 이어질 김장철 배추와 고추 등의 가격 폭등이 예상되는 대목이다.

이상기후에 의한 이 같은 자연재해는 단순히 올해만 발생한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올해가 유난히 심했지만 매년 이상기후의 조짐을 보여 왔다. 기상청에 따르면 100년 동안 평균기온이 1.5℃ 올라갔으며, 강수량도 2020년 5%, 2050년 7%, 2080년 15%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농업용 LED 등 조기 보급돼야
일조량은 매년 감소해 지난 35년간 378시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해를 불러오는 소나기성 강우도 빈발하고 있다. 지구촌 곳곳에서도 이상기후로 인한 자연재해가 일상화되면서 세계 각국도 식량 수출금지 및 자급률을 높이는 등의 대책을 내놓고 있다.

러시아는 지속적인 가뭄으로 인해 밀에 대한 금수조치를 통해 기초식량 보호 장치를 발동했다. 미국과 영국, 독일, 프랑스 등의 선진국들도 앞 다퉈 식량자급률을 높이고 있다. 또한 첨단농업의 결정체인 식물공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일본은 이미 ‘완전제어형 공장’의 실용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유럽은 식물공장의 전 단계인 유리온실 기술로 최고 수준에 올라 언제든 식물공장화 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놓고 있다. 미국은 빌딩형 식물공장에 대한 연구에 들어간 상태다.

‘식량의 무기화’에 대한 경고도 이미 빨간 불이 켜진 상태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쌀을 제외한 식량자급률이 한 자릿수에 불과하다. 첨단농업의 기술수준도 크게 미미한 수준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올해와 같은 이상기후도 일시적인 현상으로 볼 수 없다. 기후변화와 이상기후에 대비한 단기 전략과 함께 중장기적인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농업용 LED조명장치 등의 농기자재 발굴과 이들 자재를 조기에 보급할 수 있는 정책적 배려도 요구되고 있다. 무엇보다 수입농산물 공급 확대 등의 일시적인 대책을 제시하며 전전긍긍하기 보다는 먹을거리의 중요성을 국민들 모두가 다시금 인식하는 계기로 활용해야 한다. 또한 농업 지원의 필요성과 확대를 위한 공감대 형성을 이끌어 내야 한다.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