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품질 과실생산을 위한 인공수분용 수입산 배꽃가루가 무차별적으로 반입되고 있지만 발아율 등 품질을 검증할 수 있는 공인시스템이 없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배꽃가루는 발아율의 높고 낮음에 따라 1년 농사를 좌우할 정도로 중요하기 때문에 농가에서는 양질의 꽃가루를 확보하기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배꽃가루 1년 배농사 좌우… 가격 저렴해 수입산 많이 써 배나무는 다른 과일과 달라서 인공수분을 해줘야 상품성이 양호해진다. 때문에 대부분의 배농가는 인공수분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인건비 등이 부담스러워 가격이 저렴한 수입산 배꽃가루를 사용한다. 특히 배품종의 80%가 넘는 신고배는 자가수분이 안돼 인공수분에 대한 의존도가 절대적이다. 이런 틈을 이용해 일부 보따리상에 의해 유통되는 저질제품이 농가에 보급돼 피해가 줄지 않고 있다. 전남 나주지역에서 3만3058m²(1만평) 규모의 배 농원을 운영하는 A씨는 “발아율 등 품질이 떨어지는 저질 수입산 배꽃가루 때문에 피해를 입는 농가가 많다”며 “저질품 사용에 따른 피해를 줄이기 위해 자가 채취를 통해 수분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자가 채취를 통한 인공수분은 비용부담이 큰 편이다. A씨는 “같은
기능성 물질이 다량 함유된 다양한 적색배추 품종이 개발되면서 농가소득 증가와 더불어 수출시장도 크게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원장 오경태)은 최근 농식품 R&D과제의 일환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안토시아닌이 다량 함유된 기능성 적색배추 품종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적색배추, 고소득 작물로 각광적색배추 품종은 홍쌈, 레드써클, 아시아빨강미니, 미니홍쌈, 미스홍, 미스터홍, 핑크스타일 등이며 어린잎채소, 쌈용, 겉절이, 물김치, 김장용으로 활용 가능하다.농림축산식품부와 농기평은 농생명산업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지난 2011년부터 5년간 월동형 적색결구 배추 계통 및 품종을 육성하고 기능성 성분의 고속선발체계를 확립하는 연구를 지원했다. 과제명은 ‘월동형 적색 결구배추 품종 육성 및 분자육종지원체계 구축’으로 순천대학교와 ㈜아시아종묘,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연구진으로 참여했다. 이번 연구를 주관한 순천대 연구팀은 저온 감응성 및 안토시아닌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분석을 통해 내한성 및 적색 발현 모니터링용 분자표지를 개발했다. 그리고 안토시아닌 등의 기능성 적색배추의 신속선발체계를 구축해 안토시아닌 고함유 내한성 적색배추 품종을 육성한 것
농우바이오(사장 최유현)가 농가소득 5천만원 시대 조기 달성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섰다. 지난 4월 5일(수) 오전 11시 농협안성물류센터 3층 대회의에서 농우바이오는 농가소득 증대와 국산종자 보급 확대를 위해 농협 판매유통본부(상무 김영주)내 청과사업국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또한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학과 손잡고 미래 농업 인재 육성을 위해 본격적인 행보를 시작했다. 협약에 따라 농우바이오와 농협 판매유통본부 청과사업국은 주요 채소 품목에 대한 재배관리 교육, 산지 작황 정보 수시 제공 및 공유, 특이품종, 기능성 품종 개발, 시장 유통 정보 수시 제공 등의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농우바이오는 이번 청과사업국과의 업무 협약을 통해 특이 품종, 기능성 품종 개발과 선진화된 재배관리 교육을 통해 농가 소득 5천만원 시대 조기 달성에 힘을 보탤 예정이다. 농협 판매유통본부도 농우바이오에서 개발한 우수한 품종을 청과사업국을 통해 재배농가에 우선 보급하여 실질 소득이 향상 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시장 유통 정보의 수시 제공을 통해 생산된 농산물이 제대로 된 가격을 받고 유통 될 수 있도록 더욱 힘쓸 예정이다. 또한, 지난 4월 11일 서울대 농생대에서 농우바이오
국내 민간종자시장 규모가 50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1일 국립종자원(원장 오병석)은 ‘2015년 기준 종자업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발표했다. 품목별 판매액은 채소가 3147억원으로 62.8%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과수 567억원, 화훼 486억원, 버섯 408억원, 식량 52억원 순이었다. 종자산업, 전문화·분업화 추세 ‘종자업실태조사’는 종자산업 전반에 관한 정보를 조사해 종자산업의 육성 및 연관된 농업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확보할 목적으로 실시했다. 이번 조사는 2015년 12월 기준 종자업을 등록한 1669업체 중 폐업, 휴업, 복수 등록 등을 제외하고 실제 영업을 하고 있는 1210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이중 1207업체가 응답에 참여했다. 이번 조사는 국내 종자업체의 조직, 판매규모, 품목별(채소·과수·화훼·버섯·식량·산림·특용/사료/기타) 시장규모, 연구·인력풀의 역량 등 산업의 구조적 측면을 살펴볼 수 있는 기초통계를 확보했다는데 의미가 크다. 종자원은 이번 통계조사 결과를 ‘제2차 종자산업육성 5개년 종합계획(2018~2022년)’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종자원의 조사에서 종자업체 종자판매액은
농림축산식품부 국립종자원(원장 오병석)은 올해 사용할 2016년산 벼·콩 보급종을 4월 10일부터 공급물량 소진시까지 종자원 전자민원시스템(www.seednet.go.kr) 또는 잔량이 있는 지원에 전화로 개별신청을 받는다. 신청 가능한 품종은 운광 450톤, 동진찰 230톤, 일품 160톤, 조평 73톤, 추청 70톤, 오대 30톤, 삼덕 7톤 등 벼 7품종 1000여톤과 대원 290톤, 태광 30톤, 우람 30톤 등 콩 3품종 350톤이다. 이번 종자신청은 전국적으로 남아있는 물량이 소진될 때까지 선착순으로 신청을 받고 있으므로 반드시 신청가능 품종 및 물량을 사전 확인한 후 신청해야 한다. 기타 보급종 신청·공급과 관련된 사항이나 품종특성, 재배 방법 등에 대해서는 해당 시·군 농업기술센터 또는 국립종자원(054-912-0187)에 문의하거나 국립종자원 전자민원시스템(www.seednet.go.kr)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표. 벼·콩 보급종 개별신청 공급기관 안내 기관별 신청 가능한 작물 및 품종 연락처 벼 콩 종자원 강원지원 오대, 운광 대원, 태광 033-433-2517 충북지원 오대, 운광, 추청 대원, 우람 043-643-4065 충남지원
감자를 겨울철 하우스에서 파종해 이른 봄에 수확하면 비교적 가격이 높은 시기에 맞춰 시장에 출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겨울 하우스재배 감자는 줄기가 늦게까지 살아있는 경우가 많아 괴경(덩이줄기)의 성숙이 늦어져서 터짐 증상이 종종 발생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청장 정황근)은 하우스에서 수확하는 감자의 터짐 증상을 줄이기 위해 수확하기 최소 반일∼이틀 전에 줄기를 미리 뽑을 것을 당부했다. 농가에서는 관행적으로 비료를 많이 주기 때문에 대부분의 수확은 줄기가 생생하게 살아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아직 생리적인 활력이 남아있는 뿌리로부터 수분 흡수가 계속되고 있기 때문에 괴경은 팽만한 상태이며, 기계로 수확하면 수확기의 진동에 의해 터짐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의 ‘겨울철 하우스재배 감자의 줄기 제거시기에 따른 터짐 증상 발생 연구’ 결과에 따르면, 터짐 증상이 심한 경우 수확 당일 감자 줄기를 뽑아내면 터짐 증상이 나타난 감자가 평균 25% 발생했으나, 수확하기 최소 반일∼이틀 전에 뽑아냈을 경우 10∼14%로 줄어들었다. 이는 줄기를 미리 뽑으면 뿌리의 수분 흡수와 이동이 차단돼 괴경 내부의 팽압 상승을 막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농촌
과수 묘목에 대한 바이러스 무병화는 과수산업 선진화와 무병묘목 생산에 가장 중요한 단계로 여겨지고 있다. 국립종자원(원장 오병석, 이하 ‘종자원’)은 4월부터 바이러스(이하 바이로이드 포함)가 없는 무병 묘목 생산을 지원하기 위하여 과수 모수에 대한 바이러스 검사를 시작한다. 농식품부는 사과, 배, 복숭아, 포도, 감귤, 감 등 6대 과종을 중심으로 무병 보증묘목 공급률을 2025년까지 선진국 수준인 80%까지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과수 묘목의 상당부분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어 과실의 생산량과 품질저하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현재 유통 묘목의 보증체계에서는 바이러스 항목이 빠져있으며, 바이러스 무병화를 포함한 보증묘목 공급율은 전체 유통묘목의 5% 이하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에 종자원에서 추진되는 바이러스 검사는 내년부터 실시되는 과수 묘목에 대한 보증 항목 추가를 위하여 묘목업체에서 무병 모수를 확보하기 위한 조치이다. 내년까지 2개년에 걸쳐 바이러스 검사를 통과한 모수는 무병 검정 모수로 인정되어 보증묘목 생산에 이용될 수 있다. 농식품부 원예경영과에 따르면 장기적으로는 모수 상위단계의 무병 원종을 확보하는 것이 목
전 세계적으로 고구마 바이러스는 총 30여종으로 보고돼 있으며, 국내에는 8종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중 잎말림 바이러스와 얼룩무늬 바이러스 등이 국내에서 주로 발생하며, 단독감염보다는 복합감염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농촌진흥청(청장 정황근)은 고구마 묘 심는 시기가 다가옴에 따라 고구마 재배지에서 많이 발생하는 바이러스병 발생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소개했다. 상품성 떨어뜨리는 바이러스 감염 원천차단 필수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수량이 줄어들고 표피가 거칠어지며 색깔이 변해 상품성이 떨어지므로 무병묘 이용과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고품질 고구마 생산을 위해 바이러스 무병묘의 사용이 늘고 있다. 바이러스 무병묘는 바이러스 감염묘를 사용했을 때보다 수량면에서 약 15%∼42%의 증수를 보이며, 고구마 표피 색깔이 더욱 선명하고, 크기 및 모양이 일정하게 유지돼 상품성이 좋다. 그러나 바이러스 무병묘로 생산한 씨고구마를 연속해서 사용하면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사용을 벗어나 수확량이 감소하거나 상품성이 떨어지면 새로운 무병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고구마 바이러스병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씨고구마와 매개충에 의해 발생하므로
풋고추만 먹어도 혈당강하 의약품인 아카보스와 동등한 효능을 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세종대 연구팀에 의해 밝혀졌다. 연구팀에 따르면 아시아종묘 미인풋고추를 물과 알코올로 추출해 알파글루코시데이즈 효소의 활성 저해도를 측정한 결과 풋고추 1개에 포함된 성분이 40mg의 아카보스와 동등한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풋고추에 포함된 AGI성분에 의한 결과로 보여진다. AGI성분이 포함된 미인풋고추는 매운맛이 거의 없어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과일처럼 맛있게 먹을 수 있다. 고온기에도 매운맛을 나타내지 않는다. 미인풋고추는 기존 풋고추와 달리 먹는 부위가 두텁고 아삭거리며 즙이 많아 간식처럼 편하게 즐길 수 있다. AGI성분과 함께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물질 베타카로틴 함량이 높은 미인풋고추는 현재 300g 팩에 담겨 이마트 매장 150곳에서 판매되고 있다.미인풋고추의 주 생산지는 경남 밀양이다. 아시아종묘 관계자는 “풋고추 농가에 큰 소득이 되도록 SNS, 블로그 등을 통해 홍보 하겠다”고 말했다.
(주)농우바이오 최유현(57) 신임 대표가 3C–Challenge(도전)·Change(변화)·Creation(창조)’를 농우 임직원의 행동 양식으로 승화시키고, 씨앗의 가치를 존중하는 글로벌 농우를 2020년 농우 바이오의 비전으로 제시하며 취임식을 가졌다. 최유현 대표는 경상대학교를 졸업하고 1987년 입사해 QA본부장, 생산관리본부장을 지내며 고품질 종자 생산 및 품질 관리 분야에 탁월한 능력을 보여왔으며, 16일 주주총회를 통해 대표이사로 선임됐다. 최 대표는 “2020년 매출 1500억원을 달성하고, 글로벌 시장의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도록 R&D 부분 투자를 매출의 20%까지 확대해 그동안 추구해온 ‘글로벌 TOP 10’을 현실화시켜 명실상부한 글로벌 농우로 다시 태어나겠다”고 선언하였다. 또한 “현장중심·고객중심의 사업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프리미엄 Solution을 제공하는 전략적 마케팅을 통해 ‘농업인이 행복한 국민의 농협’ ‘농업인 소득 5천만원 시대’를 앞당기는데 공헌 할 수 있도록 전 임직원과 함께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최 대표는 “신규채용으로 회사에 맞는 인력으로 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며 최근 국내 종자 업계에 이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사장 류갑희, 이하 실용화재단)은 특수미․밭작물 종자 7작물 43품종의 366톤을 개별 공급한다. 이번에 공급하는 종자는 미소독 종자이며, 공급대상 작물은 특수미(벼), 두류(콩), 잡곡(조, 수수), 유지작물(참깨, 들깨, 땅콩)이다. 2016년 말부터 4차례에 걸쳐 시·군농업기술센터, 지역농협 등을 통해 공급했지만, 아직 안내받지 못한 농가 등의 수요자들을 대상으로 전화나 온라인 신청을 받을 예정이다. 종자신청은 재고 소진 시까지 신청 가능하며, 특수미 종자는 실용화재단 종자사업팀(031-8012-7274,7282,7283)으로 전화 신청을 받고, 밭작물 종자 신청의 경우 실용화재단 종자광장(http://www.seedplaza.or.kr)에서 온라인 신청이 가능하다. ‘백옥찰, 동진찰’ 등의 특수미(벼) 종자는 강원도 횡성, 전북 김제, 익산 등의 채종포에서 생산한 보급종으로 엄격한 품질관리를 거친 고품질 종자이다. 그 중 ‘적진주찰, 보석흑찰’ 등의 기능성 쌀은 비만방지, 항암작용, 콜레스테롤 저하, 심장질환 예방, 면역력 증강 등의 효과로 건강을 지켜주고, 인체 내에 다양한 생리활성 조절 기능을 지닌 성분이 함유 또는 보강되도록
농촌진흥청(청장 정황근)은 28일 인제군 남면 소양호 상류 홍수조절용지에 K-water(한국수자원공사), 지역 영농조합법인과 공동으로 봄 재배용 귀리 종자 자급을 위한 시범 채종포에 파종을 마쳤다. 농촌진흥청은 올해부터 K-water와 함께 공동으로 홍수조절용지를 활용해 지역소득 창출 및 친환경 농업을 위한 귀리 채종단지 운영을 추진하기로 했다. 홍수조절용지는 댐이 설치된 지역의 홍수에 대비해 확보돼 있는 부지로, 인제군 남면 일원에만 152만㎡에 이르며, 주로 홍수기가 시작되기 전인 3월부터 6월까지 농경지로 이용하고 있다. 이번 사업은 해외 도입종에 의존하고 있는 귀리 종자를 국내 생산을 통해 축산농가에 직접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2019년에는 생산성 좋은 국산 풀사료용 귀리 종자를 현재 귀리 도입량의 70% 이상 자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재배하는 귀리 종자는 전량 해외로부터 수입해오고 있다. 2016년 기준 귀리 도입량은 886톤(약 114만8000달러)에 달한다. 그간 국내에서 육성한 귀리 품종은 ‘다크호스’ ‘하이스피드’ 등 여러 품종이 있으나, 도입종에 비해 풀사료 생산성이 우수함에도 생산단가가 비싸고 수확시기도 늦어
대전·세종·충남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이사장 신원택. 이하 대전·세종·충남작물조합) 임주혁 전무는 지난달 26일 개최된 중소기업중앙회 ‘제63회 정기총회’에서 협동조합 유공자로 선정되어 중소벤처기업부장관상을 수상했다. 임주혁 전무는 농촌진흥청 농약연구소 연구원을 시작으로 이후 동양화학 및 노바티스에서 대전·충남지점장과 전북지점장을 역임했으며, 이어서 신젠타코리아에서 근무, 마케팅부 이사로 퇴임했다. 2010년 12월부터 현 대전·세종·충남작물조합에서 전무이사직을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2021년 12월부터 전국작물보호제협동조합 실무이사협의회에서 회장직도 맡고 있다. 임주혁 전무의 이번 장관상은 심각한 사업 침체 위기에서, 지난 14년간 이사장을 성실히 보좌하면서 단결 역량을 발휘하고, 투명한 회계 관리와 혁신적인 공동사업으로 안정적 매출과 이익을 매년 지속적으로 상승시키는데 공로가 크다는 점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됐다. 임주혁 전무는 “조합에서 성실히 사업하시는 우리 조합원님들과 조합 임원님들 덕분에 큰 상을 받게 된 것 같다”며 “앞으로도 맡은 바 임무에 성심과 최선을 다해 조합 발전에 일조하도록 하겠다”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한편, 이날 '제63회 정기총회
2025년 을사년(乙巳年) 새해가 밝았습니다. 희망찬 새해를 맞아 소망하시는 모든 일을 이루시고 건강과 행복이 가득한 한 해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지난 한 해 녹록지 않은 상황 속에서도 든든하게 우리 농업과 농촌 현장을 지켜 주신 농업인, 그리고 농촌진흥공직자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025년에는 환경 대변화, 기술 대변혁의 시대에 우리 앞에 놓인 도전을 극복하고, 미래 세대에 희망을 주는 농업·농촌으로 성장하기 위한 변화와 혁신의 성과를 만들어 가겠습니다. 전국의 농업인 여러분, 그리고 국민 여러분! 지난해 말 농촌진흥청은 그간의 핵심사업을 재정비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 창출을 위해 첨단기술 융합과 민·관 협력을 기반으로 하는「농업연구개발 혁신방안」을 수립하였습니다. 올해 농촌진흥청은 혁신방안의 핵심내용인‘정책지원·현안해결 10대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주요 현안문제의 조속한 해결과 농업의 신성장 동력 창출을 위해 다음의 다섯 가지 사항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자 합니다. 첫째, 혁신기술로 핵심 농업정책 추진을 뒷받침하겠습니다. 생명정보 데이터를 활용해 육종 목표에 맞는 유전자원을 신속하게 발굴하는‘디지털육종’기술 혁신에 박차를 가하겠습니다